지난 두 달간 출판계 화제는 단연 이슬람문화연구소의 ‘이슬람’(청아 펴냄)이었다. 9월6일 이 책이 출간되었는데 9월11일 뉴욕 테러사건이 터진 것이다. 마치 사고를 예견한 듯한 절묘한 타이밍에 출판사 담당자도 놀라 입이 벌어질 지경이었다. 지금까지도 이 책은 매일 대형서점에서 100부 이상 팔린다. 덩달아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 노암 촘스키의 ‘숙명의 트라이앵글’, 정수일씨가 번역한 ‘이븐 바투타 여행기 1.2’와 같이 대중성과는 거리가 먼 인문서들까지도 예상치 못한 판매액을 올렸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슬람 관련 책들이 누린 인기가 우연히 주운 행운이었다면, 앞으로 나오는 책들은 철저하게 기획력으로 승부해야 한다. 후발 주자들은 이미 한 차례 휩쓸고 간 이슬람의 열풍을 어떻게 붙잡을 것인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출판사 기획자들이 가장 먼저 군침을 흘렸을 아이템은 오사마 빈 라덴이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인텔리이자 백만장자로서 미래가 보장된 젊은이가 성전 수행을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났다. 라덴의 삶 자체가 흥미진진한 한 편의 드라마이기 때문이다.
10월 들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미국의 군사`-`테러 전문가 요제프 보단스키가 쓴 ‘오사마 빈 라덴’과 조지워싱턴대학 테러리즘 연구센터 소장인 요나 알렉산더 교수의 ‘빈 라덴과 알 카이다’가 잇따라 번역 출간됐다. 두 책은 ‘이슬람의 영웅’과 ‘테러리즘의 화신’이라는 라덴의 상반된 이미지 어느 한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객관적으로 라덴을 조명하려고 애쓴 흔적이 보인다. 그것은 두 책 모두 이번 테러사건 전에 쓰였다는 것과도 관계가 있다.
보단스키는 ‘오사마 빈 라덴’ 마지막 장에서 빈 라덴의 다음 타깃은 틀림없이 미국일 것으로 보았다. 라덴은 코란을 움켜쥐고 “이 책만으로는 이교도들을 패배시킬 수 없다. 이교도들에게 주먹맛을 보여줘야만 한다”며 성전을 주장했다고 한다. 이미 1998년 12월부터 많은 전문가들은 라덴이 미국 공관을 타격하기 위해 테러대를 중동과 서유럽에 보냈고 어쩌면 미국에 보냈을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보단스키 역시 책 말미에서 “대량 살상무기를 보유한 빈 라덴이 미국의 심장부를 겨냥하고 있는 현실이 소름끼친다”고 끝맺었다. 그리고 모든 것이 현실이 되었다.
‘빈 라덴과 알 카이다’는 라덴의 ‘두 성지를 점령한 미국에 대한 전쟁선포’(96년) 선언서와 ‘국제이슬람전선 성명’(98년) 등을 원문 그대로 싣는 등 보고서 형태를 취했다. 이 책은 그동안 발표된 성명서와 인터뷰 등을 통해 사상가이자 혁명가로서 라덴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 주력했다. 붉은 바탕에 검은색 윤곽으로 라덴을 묘사한 표지는 다분히 제2의 ‘체 게바라’ 만들기라는 혐의가 짙다.
한편 ‘이슬람’이 정치·경제·문화·예술·여성, 한국과의 관계 등 이슬람 세계를 두루 짚어본 개론서이자 입문서라면, 이후 출간된 권삼윤씨의 ‘자존심의 문명-이슬람의 힘’이나 가토 히로시의 ‘이슬람, 그들은 누구인가’는 저자의 색깔이 분명히 드러나는 책이다. 특히 권삼윤씨의 ‘이슬람의 힘’은 첫 장을 모두 아프가니스탄을 소개하는 데 할애해, 최근 미국의 보복공격과 관련해 국제적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점을 충분히 활용했다.
전 세계 60여개국을 여행하면서 고대문명 유적지와 세계문화유산을 두루 답사한 권삼윤씨는 특히 중동지역 이슬람 문화에 깊은 애착을 보인다. 보복공격에 나선 미국에 대해서도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상대를 필요 이상으로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이슬람 문명은 그리 쉽게 무너지지 않는 ‘단단한 문명’이며, 상대적으로 서구문명은 그들의 독점욕 때문에 지금 곳곳에서 도전받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가 바라본 탈레반과 오마르, 빈 라덴은 “폭력적인 국가 전복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혁명적이며 세계 각국의 이슬람 교도들을 끌어들여 범국가적 이슬람 국가를 꿈꾸고 있다는 점에서는 국제적”이다. 우리는 이슬람에 대해 이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 히토츠바시대학에서 30년간 중동을 연구해 온 가토 히로시 교수도 균형 잡힌 시각에서 이슬람 세계를 전달하고자 했다. 이미 2년 전 출간한 책이어서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지는 못했지만, ‘문명 충돌’이라는 말로 비로소 다른 문명의 존재를 의식하기 시작한 서구의 어리석음을 지적하는 데는 권삼윤씨와 뜻을 같이한다. 충돌로 해석하기보다는 ‘문화다원주의’의 입장에서 이슬람 문명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난 두 달 사이에 칼과 코란으로 기억되던 이슬람 세계는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자존심의 문명 이슬람의 힘/ 권삼윤 지음/ 동아일보사 펴냄/ 272쪽/ 9000원
☞ 도서 상세정보 보기 & 구매하기
이슬람, 그들은 누구인가/ 가토 히로시 지음/ 남규형, 조영렬 옮김/ 고도 펴냄/ 253쪽/ 9800원
☞ 도서 상세정보 보기 & 구매하기
오사마 빈 라덴/ 요제프 보단스키 지음/ 최인자, 이윤섭 옮김/ 명상 펴냄/ 388쪽/ 1만3000원
☞ 도서 상세정보 보기 & 구매하기
빈 라덴과 알 카이다/ 요나 알렉산더 외 지음/ 동아시아 펴냄/ 298쪽/ 9000원
☞ 도서 상세정보 보기 & 구매하기
< 김현미 주간동아기자 > khmzip@donga.com
◇ Tips
아프가니스탄
흔히 '아프간'으로 약칭하는 아프가니스탄은 한반도의 3배 크기로 바다와는 100km나 떨어진 내륙국가이며, 국토의 절반 정도가 해발 1000m가 넘고 북동부는 5000m급의 고산들이 줄을 잇는 산악국가다. 이 나라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것은 7세기 무렵이며 현재 국민 99%가 무슬림(이슬람 교도)이다. 그중 수니파가 85%, 나머지 15%는 시아파다. 인종적으로는 피슈툰족이 40%로 다수를 이루고 25%인 타지크족이 탈레반에 대항하는 북부동맹의 주력세력이다(권삼윤 '이슬람의 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