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경찰 '6·10항쟁' 왜곡 물의

입력 | 2002-04-26 00:19:00


경찰청 인터넷 홈페이지(www.npa.go.kr)에 소개된 경찰 역사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지나치게 경찰 중심의 시각으로 만들어져 물의를 빚고 있다.

경찰은 인터넷 홈페이지에 소개한 경찰 역사 중 ‘민주화의 열기와 경찰의 변화’ 부문에서 △박종철(朴鍾哲)군 고문치사 사건 △6·10항쟁 △부천서 성고문 사건 등 80년대의 주요 민주화운동을 소개하면서 상당 부문 사실을 왜곡했다.

▽역사 왜곡〓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의 경우 사인인 고문을 ‘가혹행위’라는 한마디로 표현했을 뿐 경찰의 물고문 등 구체적인 사실을 기술하지 않았다. 또 경찰의 은폐 조작 사실을 뺀 채 ‘신문 등 매스컴에서 경쟁적으로 이를 대서특필하였고 이로 인해 여론이 악화되자 내무부장관과 치안본부장이 즉각 사퇴하고 경찰관 2명이 구속됐다’고 기술했다.

▼관련기사▼

- 경찰청 홈페이지 물의

특히 당시 강민창(姜玟昌) 치안본부장이 고문 은폐 혐의로 구속된 데 대해 ‘강 전 본부장에 대한 법률 적용 문제는 여론에 밀려 전격적으로 구속처리한 인상이 있었고, 정치적인 사건 처리라는 반대 여론도 제기되었다’고 적고 있다.

부천서 성고문 사건의 경우 ‘서울대 제적생이던 권인숙(權仁淑)양이 부천서 문귀동(文貴童) 형사에게 성고문 당한 사실을 언론에 폭로함으로써 발생하게 되었다’며 성고문 자체의 위법성보다는 ‘언론에의 폭로’로 발생한 사건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자화자찬과 경찰 피해 부각〓80년대 당시 경찰의 시위 진압에 대해 ‘집단사태에 대한 입장은 최대 구속자를 낸 건국대사태에서 나타나듯이 매우 단호하였으며 실정법의 위반을 엄격히 척결하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기술했다.

특히 6월 민주화 항쟁 당시 경찰의 적절한 대처로 계엄령이나 위수령이 발동되지 않았다고 자화자찬했다. 또 ‘군 출동 위기’ 부분에서 ‘군 출동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당시 권복경(權福慶) 치안본부장의 의견은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해 국민의 민주화 열기를 살려주는 극적인 계기가 됐다’며 대부분의 공적을 경찰에 돌렸다.

특히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경찰이 본 피해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했다. 6월 항쟁과 관련, ‘경찰관 708명과 일반인 28명 등 총 736명이 중경상을 입었고 시위대의 습격을 받아 건물과 집기가 파손되었다’고 적고 있으나 시민 피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또 연세대 이한열(李韓烈)군 사망 이후 벌어진 시위에 대해 ‘경찰은 최루탄을 사용하는 강제 해산 조치는 최대한 억제하고 인내하면서 진압활동에 임하였다’며 경찰 위주로 상황을 적고 있다.

이 훈기자 dreamlan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