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송수권의 풍류 맛기행] 무젓과 박속밀국 낙지탕

입력 | 2002-05-03 14:56:00


서산 갯마을 뻘밭의 축복

저갯마을 흐드러진 복사꽃잎 다 질 때까지는/ 이 밤은 아무도 잠 못 들리/ 한밤중에도 온 마을이 다 환하고/ 마당 깊숙이 스민 달빛에/ 얼룩을 지우며/ 성가족(聖家族)들의 이야기 도른도른 긴 밤 지새리// 칠칠한 그믐밤마다 새조개들 입을 벌려/ 고막녀(女)들과 하늘 어디로 날아간다는 전설이/ 뻘처럼 깊은 서산 갯마을// 한낮엔 굴을 따고/ 밤엔 무시로 밀낙지국과 무젓을 먹는 아낙들/ 뽀얀 달무리도 간월도(看月島) 너머 지고 말면/ 창창한 물잎새들 새로 되듯/ 이 밤엔 아무도 잠 못 들리/ 저 갯마을 복사꽃잎 다 흩날릴 때까지는

필자의 ‘서산 갯마을’이란 시다. 서해안 지방에서는 전통 음식인 보리밥과 게장이 일미로 전해오지만, 무젓(꽃게무침)은 이와 달리 꽃게의 속살을 저민 것이라 혀끝에서 생크림처럼 녹는 맛이 청풍명월을 음미하는 듯하다.

무젓은 밑반찬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두레음식으로 널리 애용돼 왔다. 복사꽃이 피고 탱탱 알 밴 꽃게들이 무진장 잡히기 때문이다. 진달래가 피면 부뚜막의 앵병도 주꾸미 맛에 절로 운다지만, 꽃게찜이나 무젓도 이만 못하지 않다.

서산시 축협 삼기식당(대표 정재원ㆍ041-665-5392)에 따르면 특별한 잔치나 두레마당이 벌어질 때 주문만 하면 무젓을 대량 공급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남도에서 홍탁(홍어+탁주)과 삼합(홍어+해묵은 배추김치+돼지편육)이 없으면 울력판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런데 이 맛깔나는 무젓을 양반가에선 외면한 사람마저 있었다니 믿어지지 않는다. 까닭인즉 게가 비틀걸음을 치기 때문에 횡행거사(橫行居士), 눈알을 부라리기 때문에 천상목(天上目), 창자가 없고 버캐를 피우므로 무장공자(無腸公子), 서해 뻘밭에서 많이 잡힌다 하여 강호사자(江湖使子), 서호판관(西湖判官) 등 갖가지 상징적 용어로 불린 때문이다. 그러나 무젓을 한 옹배기씩, 탱탱 알 실은 꽃게찜을 한 바구니씩 상 위에 올려놓고 추렴하는 이 지방 사람들을 보면 오히려 부럽기까지 하다.

마당 깊은 복사꽃 환한 그늘에서 유정한 간월도의 달을 바라보며 도른거리는 꿈 같은 밤은 온전히 서산 갯마을만이 누리는 특유의 정취 아니겠는가.

‘굴, 합(蛤)과 같은 패류만은 퇴조시(退潮時)에도 도망가지 않으므로 이를 많이 포획하나 그 자원은 다함이 없다.’ 이는 ‘고려도경’ 잡속편의 일부다. 우리 국토의 다함 없는 뻘밭을 부러워하며 송나라 서긍이 쓴 글이다. 그 사신(使臣)도 무젓의 신선한 맛과 탱탱 알 실은 꽃게찜을 음미하며 썼음직하다.

‘조금 물 또랑 게’란 말도 있지만 달밤엔 갑각류의 살이 차오르지 않는다고 한다. 이유는 딱히 알 수 없지만, 태양이 떠 양기가 동하면 신체 리듬도 양기를 발산해 운동을 하고, 달이 떠 음기가 작용해 수분이 넘치면 체내 리듬도 수축과 저장이란 휴식 상태로 바뀌는 게 아닌가 싶다. 사계가 순환하듯 생체 리듬도 바뀌는 것이다.

달밤에는 이매패(二枚貝)인 새조개도 살이 차지 않아 하늘 어디로 날아간다는 서산 갯마을에 내려가 한 옹배기 무젓을 들어볼 일이다. 봄밤 복사꽃 그늘에 평상을 놓고 청풍명월을 부르는 그 멋스러움이 국토를 누비는 선풍(仙風)의 가락 아니겠는가. 그도 아니면 봄바람에 복사꽃 다 흩날리고 나서 음력 5~6월이 오면 역시 갯벌음식인 ‘박속밀국낙지탕’을 찾아봐도 좋다.

박속밀국낙지탕은 ‘삼해횟집’(서산시 읍내동ㆍ041-665-7878)과 ‘구도회관’(서산시 팔봉면 구도리ㆍ041-662-6117), 또 지곡면 중왕리 ‘중앙낙지한마당’(041-662-9016) 등이 널리 알려졌다. 박 오가리와 낙지, 국수가 만나는 ‘더위지기’ 음식으로 최상일 듯하다. 여기에다 최근 개막된 안면도 꽃지해수욕장의 ‘꽃박람회’에 들르면 금상첨화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