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뒤져 전쟁사 관련 책을 찾아보니, 10여권 조금 넘는군요. 그 유명한 ‘필로폰네소스 전쟁사’와 ‘전쟁은 문화다’라고 주장하는 영국 옥스퍼드 역사학자 존 키건의 ‘세계 전쟁사’ 정도가 눈길을 끕니다. ‘피를 흘리지 않는 전쟁(정치)’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정치학이나 국제 관계론이 발전하면서 이론적으로 보강되긴 했지만, ‘피 흘리는 정치(전쟁)’에 대한 기록은 아직 미미합니다.
전투원들이 직접 남긴 사료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 때문이겠지요. 전투원 입장에서 묘사하는 전쟁사가 나오기 힘든 이유이기도 합니다.
전쟁사도 역시 영미권이 탁월합니다. 이번 주에 소개한 ‘아나바시스’를 비롯해 잘 아시는 ‘필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전쟁사의 고전입니다. 그리스 내전이라고 할 수 있는 아테네 스파르타간 기원전 전쟁에 참여한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전쟁이 터지자 마자 역사상 최대의 전쟁이 될 것임을 예상하고 직접 장군으로 참전해 세세한 기록을 남겼습니다.
기간(27년)이 길었던 만큼 분량도 방대한 이 책은 전쟁기록이라기 보다 고대 그리스를 둘러싼 국제 정세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살아있는 역사서입니다. 각 도시들의 정치 외교 경제상황, 군사작전을 비롯해 연설문들까지 수록돼있고 위기와 결단의 순간을 맞은 인간심리의 생생한 묘사가 압권입니다.
1815년 워털루 전투 등을 분석한 존 키건의 ‘전투의 면모’나 고대 그리스 문헌을 토대로 핸슨이 쓴 ‘서구의 전쟁방식-고대 그리스의 보병전투’ 같은 책들도 고전으로 꼽힙니다. 핸슨의 책에는 한여름 뙤약볕에 달궈진 40㎏짜리 갑주와 방패를 몸에 걸치고 500m를 전속력으로 뛰어가 적 제1열과 충돌해야 했던 그리스의 보통 시민이 느낀 공포감을 생생히 복원되어 있습니다. 시오노 나나미는 ‘네가 전장에 섰을 때 과연 그렇게 재미있을 수 있겠느냐’고 묻습니다. 과거의 전쟁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런 질문이라고 하면서 말이지요.
고조선부터 6·25까지 우리나라는 전쟁 없이는 역사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풍부한 전쟁 체험을 갖고 있습니다. ‘한민족 전쟁사’나 ‘6·25전쟁사’ 같은 제목이 책들이 없지는 않지만 전사(戰史) 교과서같은 딱딱한 편집과 건조하고 한문투인 문체가 대부분이이서 대중적인 책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나머지는 육군사관학교 교재 정도로 쓰이는 전쟁사가 고작입니다.
이해가 안되는 바는 아닙니다. 늘 당하는 입장에서 승전의 체험이 없는 데다 부모 형제의 가슴에 총부리를 겨눴던 세계 역사상 드물게 처참했던 내전의 체험이 아직도 육성으로 전해오는 상태에서 전쟁을 남이야기처럼 할 수 없었기 때문이겠지요. 하물며, 현재 진행형의 전쟁 공포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말이지요.
왜 이렇게 되었는가를 따지는 것은 저의 몫이 아닙니다. 다만, 이념과 감정을 걷어 낸 생생한 전쟁사, 시오노 나나미와 같은 냉철하고 객관적인 역사인식을 기반으로 한 전쟁사들이 나올 때 우리 문화와 정신의 지평은 그만큼 넓어지리라는 기대로 이번주 1면을 전쟁사로 꾸며 보았습니다.
늦었지만, 2차 서해교전으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허문명기자 angelhu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