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가는데 누가 나에게
“당신은 인간이 어디서 왔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세상에 신은 정말 존재하는 걸까요?”
“우리의 육체가 죽으면 영혼도 함께 죽는다고 생각하세요?”
이렇게 묻는다면 나는, 아마 뭐라고 대답해야할지 몰라 눈만 데굴데굴 굴리고 있을 것 같다.
지금으로부터 420년전인 1582년, 이탈리아의 평범한 방앗간 주인이 이단재판을 받고 있었다. 이단 심문관들은 놀란 표정으로 다음과 같은 진술을 듣고 있었다.
“태초에 이 세계는 아무 것도 아니었습니다. 거품과 같은 것이 바닷물에 부딛쳐 마치 치즈처럼 엉켜 있다가 이 모든 것이 함께 하나의 큰 덩어리를 형성하는데, 이는 마치 우유에서 치즈가 만들어지고 그 속에서 구더기가 생겨나는 것과 같습니다. 그 구더기들이 인간이 되었고, 이 구더기들 중에서 나비 천사가 나고, 가장 강력하고 현명한 자가 하느님이 되었습니다.”
“신성(神性)은 선행을 많이 행할 줄 아는 훌륭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육신이 죽으면 영혼도 죽습니다. 왜냐하면 저 위에서는 그것들이 활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법정에서 내가 알아들을 수 없는 라틴어로 말하는 것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배신입니다.”
이 길고 길었던 재판의 주인공은 도메니코 스칸델라. 메노키오라는 별명을 가진 하찮은 사람이었다. 메노키오는 1582년 51세의 나이에 이단혐의로 피소되고, 이후 투옥과 방면을 여러 번 반복하다가 결국 1599년, 화형에 처해졌다. 메노키오는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이미 일상적인 언어로 자신의 세계관을 피력하고 있었다. 거기에 거부할 수 없는 진실이 인간의 영혼에 산소를 공급한다.
오래 전 잊혀진 메노키오를 추적하고 나선 사학자 진즈부르그의 눈도 내 눈을 밝게 해준다. 왜 그토록 학식 있는 당대의 성직자들이 재판을 그토록 오래 끌면서 경청했겠는가? 인간의 역사에 있어 진실은 개인의 발언이 기존의 가치관과 상치될 때 오는 전체적인 불편함과 억압을 뚫고 밝혀져 왔다.
‘치즈와 구더기’는 역사서라기보다 너무나도 재미있는 한 권의 문학 서적이다.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진솔한 세계관의 발굴은 21세기 서울의 어느 골목에도 거부할 수 없는 소박한 진실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란 사실을 우리에게 일깨워준다. ‘치즈와 구더기’는 나를 현대 엘리트 사회의 문헌문화에 대한 생활인들의 공격적이고 독창적인 일침을 찾아 나서고 싶게 만든다.
김춘미(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연구소장) spring@knu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