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황토주택에서 이 집은 지은 '황토집마을' 장기용 대표가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박희제기자
99칸짜리 한옥 저택, 전통과 현대 건축기법을 동원한 ‘학사재(學思齋)’, 무공해 자연주택의 여염집….
토지의 기운이 왕성한 것으로 알려진 인천 강화도에 전통 기법의 건축물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80여년 전에 지어진 한옥 저택이 박물관으로 새롭게 단장되고 있으며 강화대교∼초지대교 사이를 흐르는 염하 물줄기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하는 한옥이 지어지고 있다. 또 솟을대문 툇마루 황토벽 구들 굴뚝 등 옛집 형태를 살린 아담한 살림집들도 강화지역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천 남동공단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모씨(46)도 최근 강화읍 국화저수지가 바라다 보이는 110평 부지에 연면적 20평 규모의 ‘ㄱ자’형 황토주택을 지었다.
그는 앞마당에 조금만 텃밭과 정원을 가꾸고 있으며 지게와 여물통, 가마솥, 솟대, 탈곡기 등 옛 생활소품을 집안 여러 곳에 배치해 놓았다. 그는 가족과 함께 일주일에 한두 차례 이곳을 찾고 있으며 올 때마다 장작으로 불을 지피는 별채 구들방에서 잠을 잔다.
이 집을 설계 시공한 인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의 ‘황토집 마을’ 대표 장기용씨는 “강화산 흙을 주재료로 한 황토집을 지어달라는 주문이 많다”며 “몇 년 사이 강화도에서만 50여채를 건축했다”고 말했다.
초지대교 인근의 불은면 덕성리 1만5000평 부지에 들어선 ‘학사재’는 독특한 건축기법과 빼어난 조경미로 꽤 입소문이 난 상태.
한옥문화원(서울 종로구 원서동)이 1999년 5월부터 2년여 만에 지은 학사재는 안채(50평) 사랑채(30평) 대문채(10평) 등 3동으로 구성돼 있다. 학사재 소유주인 서강대 명예교수이자 독일문화원 강사인 김영덕씨(73)와 그의 동생 제임스 김씨(48·재미 사업가)는 수십억원을 들여 학사재를 문화 명소로 꾸미고 있다.
제임스 김씨는 “야생란 붓꽃 돌단풍 철쭉 등 50여종의 야생화를 심었고 앞으로 50년간 자연미를 최대한 살린 문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조만간 민요 소리 뗏목놀음 등 다양한 전통강좌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옥문화원의 인터넷 홈페이지(www.hanok.org)에는 학사재의 도면, 터 닦기, 기둥과 서까래 조립과정 등을 보여주는 동영상과 한옥 건축 관련 자료가 올라 있다.
85년 전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지어진 99칸짜리 한옥이 생활박물고나으로 꾸며지고 있다. - 박희제기자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2500평 부지에는 연면적 700평 규모의 99칸짜리 한옥이 생활박물관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5년 전 이 집을 사들인 나이스코리아 니코의 배상우 사장은 “강화지역의 대상(大商)이 1917년 대청마루와 일본식 회랑(복도)을 절묘하게 배합해 지은 국내에선 보기 드문 건축물”이라고 말했다. 배 사장은 이곳을 근대사 생활용품을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개조하기 위해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
인천〓박희제기자 min0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