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내년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전략 대화’를 가짐으로써 군사외교의 대전환을 시도한다.
25일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10일 관청위안(關呈遠) 주벨기에 중국대사가 조지 로버트슨 NATO 사무총장에게 “테러리즘과 중앙아시아의 안전보장 등을 협의하기 위한 전략 대화를 내년부터 정기적으로 갖자”고 제의했다.
이에 NATO측은 “세계 안보에 대한 중국의 성숙된 모습을 나타낸 ‘자극적인 제안’”이라며 적극 환영했고 21, 22일 체코 프라하의 회원국 정상회담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그동안 거리를 두던 NATO와의 전략 대화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복합적이다. 가장 큰 이유는 전 세계적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NATO 전략 개념의 변화와 동유럽 국가의 회원국 가입에 따른 NATO의 동진(東進)정책 때문이다.
당초 NATO는 회원국 침략에 대한 집단방위기구로 출발했으나 1999년 코소보전쟁을 계기로 자유와 인권을 위해서는 유엔의 승인 없이도 주권국가를 공격할 수 있으며 작전영역도 유럽을 벗어날 수 있다는 신전략 개념을 도입했다.
중국으로서도 대(對)테러전쟁에 동참한다는 명분을 얻을 필요가 있다. 특히 신장웨이우얼(新疆維吾爾)자치구 일대에서 분리독립운동을 벌이고 있는 이슬람단체를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미국이 주도하는 NATO의 이해와 협조를 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NATO는 1994년 ‘평화를 위한 동반자’ 계획을 통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대화 상대국으로 받아들였고 올해 러시아를 준회원국으로 가입시킴으로써 사실상 중국 변경까지 안보영역을 넓혔다.
중국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서쪽은 NATO에 의해, 동쪽은 미일 동맹에 의해 자국이 군사적으로 ‘포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중국은 NATO와의 전략 대화와 함께 중앙아시아의 상하이(上海)협력기구 회원국들과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자국에 대한 전략적 포위를 완화 또는 무산시킬 필요가 있다.
또 미국에 마지못해 따라가는 서유럽 국가들과의 양자 또는 다자 대화를 통해 미국의 세계 패권전략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는 것이 중국의 또 다른 계산이다.
베이징〓황유성특파원
yshw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