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자농구는 지금 온통 한류(韓流) 열풍이다.
1부리그 소속 8개 팀 가운데 히타치를 제외한 나머지 7개 팀 지도자가 한국인. 게다가 결승전은 으레 한국인 지도자끼리의 대결장이다.
지난해 10월 개막된 일본여자농구(WJBL) 2002∼2003시즌 정규리그에서는 한국인 지도자를 두고 있는 재팬에너지 샹송화장품 일본항공 미쓰비시전기가 나란히 1∼4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시작되는 4강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승전 벤치의 주인공은 모두 한국 지도자들이다.
한국 지도자들의 일본 러시는 세계 4강에 들어가는 한국 여자농구의 실력을 직접 전수받기 위해 러브콜이 쏟아진 게 가장 큰 이유. 일본 농구인들은 “한국 출신 지도자들 때문에 입지가 줄었다”며 볼멘소리를 하지만 지도력에 워낙 차이가 나다보니 대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
일본 무대를 개척한 원조 감독으로는 현재 미쓰비시전기에서 기술고문을 맡고 있는 임계삼씨(74)가 꼽힌다.
1975년 선경 창단 감독이었던 그는 1987년 일본으로 건너가 만년 하위권에 머물던 미쓰비시전기를 일약 상위권으로 끌어올렸다. 일흔을 넘긴 고령과 간 질환을 겪으면서도 임 고문은 아직 1년에 절반은 일본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코치는 실업팀 현대에서 뛰었던 김은영.
임 고문이 씨앗을 뿌렸다면 재팬에너지 김평옥 기술고문(68)은 열매를 맺은 주인공.
90년대 초반 한국화장품의 지휘봉을 잡았던 김 고문은 93년 4월 재팬에너지의 전신인 공동석유 사령탑에 오른 뒤 강산이 한번 변한다는 세월 동안 성공 신화를 이뤘다.
그가 이끈 재팬에너지는 일본 황후배 대회에서 두 차례나 3연패의 금자탑을 쌓았고 WJBL에서는 2001년과 2002년에 2연패했다. 올 정규리그에서는 1패 후 19연승을 달리며 일찌감치 1위를 확정지은 상태.
그는 2001년 3월 감독직에서 물러나 기술고문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여전히 팀에서 중추 역할을 맡고 있다. 김평옥 고문은 “예전에 주류를 이루던 미국 출신 코치들이 요즘은 한국인으로 바뀌었고 다들 잘 가르치는데다 성적까지 좋으니 뿌듯하다”고 말했다.
정주현 전 코오롱 감독은 98년부터 명문 샹송화장품의 지휘봉을 잡았다.
샹송화장품은 재팬에너지와 함께 일본 여자실업농구 판도를 양분하는 팀. 올 시즌에도 최강 재팬에너지에게 유일한 1패를 안기며 3년만의 정상탈환에 도전한다.
국민은행 SKC 현대 등 국내 9개 실업팀을 거친 임영보 감독. 국민은행 시절 28연승의 화끈한 기록을 세웠던 그는 98년 일본항공과 사상 최고인 연봉 2000만엔으로 감독 계약을 한 뒤 3부 리그에 머물던 팀을 2부로 끌어올리더니 다시 1부로 승격시켰다.
지난 시즌 성적은 1부 3위. 올 시즌에도 3위에 올라 정주현 감독의 샹송화장품과 3전2선승제의 4강전을 치른다.
부부감독도 있다. 정주현 감독과 국가대표 가드 출신 이옥자 감독이 그렇다.
이 감독은 1970년대 후반 샹송화장품에서 선수로 뛰었던 일본통(通). 그는 당시의 경험을 살려 2001년 후지쓰 감독으로 부임했다.
지난해 도요타자동차 사령탑으로 부임한 정해일 감독은 SKC 시절 임영보 감독과 나란히 코칭스태프를 맡았던 사이. 3년 전 일본통운 감독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일본 생활이다.
정주현 감독과 하숙례(33) 덴소 감독은 사제관계였다가 나란히 감독이 된 드문 경우다.
한국인 지도자 가운데 막내인 하씨는 코오롱 시절 정주현 감독의 애제자. 98년 일본 유학을 떠났다가 2001년 덴소 감독을 맡았다. 아버지뻘 되는 다른 한국인 감독과 싸워야 하는 하숙례 감독은 “선생님들한테 많이 배우고 있어 타향에서도 외롭지 않다”며 “후배 선수들이 한국 농구를 잘 이끌고 있으니 자랑스럽다”고 했다.
김종석기자 kjs0123@donga.com
■남자농구 감독들은 중국서 ‘바람’
남자농구 감독들의 해외 진출은 70∼80년대 중동 모래바람에서 2000년대 중국 황사바람까지 이어지고 있다.
건설붐을 탄 첫 중동진출 케이스는 68년 사우디아리비아에 진출한 이상훈씨(작고). 이씨는 상업은행 코치와 여자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뒤 사우디아라비아 클럽팀을 맡았다. 74년엔 방열씨(경원대 교수)가 쿠웨이트로 진출했고 최종규씨와 유희영씨(이상 쿠웨이트) 김윤씨(카타르) 등도 중동파의 원조격.
한국 농구지도자들의 중동 진출이 최고조에 올랐던 때는 80년대 중반. 김동광 삼성 썬더스 감독이 83년부터 2년간 바레인대표팀을 지도했고 85년엔 김태환 LG 세이커스 감독을 포함해 8명이 바레인에 진을 쳤다.
2000년대 들어서는 남자농구 지도자들이 중국으로 눈을 돌렸다. 2001년 4월 김재웅씨(KBL 경기감독관)가 텐징 허핑하이완 감독을 맡았고 지금은 진성호(산서성), 진효준(장수 난강), 유수종씨(홍콩 페이롱) 등 3명이 나가 있다.
전 창기자 je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