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IT패러다임이 바뀐다]PC에서 유비쿼터스의 바다로

입력 | 2003-03-02 19:07:00


《정보기술(IT) 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개발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유무선 인터넷의 대중화와 디지털 융·복합화 등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 IT(post-IT·후기 IT)’ 시장을 둘러싼 기업들의 선점 경쟁이 시작되면서 조만간 세계의 경제지도가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기존의 PC와 인터넷 혁명을 능가하는 IT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아 세계 굴지 기업들의 현장을 찾아 어떤 전략으로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10회에 걸쳐 점검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 자리잡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업체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연구소. 연구진은 12일 공개할 ‘센트리노(Centrino)’라는 이름의 새로운 칩의 후속제품 개발에 막바지 힘을 쏟고 있었다. 가벼운 농담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등 신경이 극도로 날카로워져 있었다. 센트리노 칩은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인 인텔이 노트북PC나 개인휴대단말기(PDA) 등 모바일컴퓨터를 위해 개발한 야심작. 현재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무선통신 칩을 더한 무선통신용 복합 반도체다.

이처럼 인텔은 올해가 IT산업이 재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보고 발빠르게 변신을 서두르고 있다.

컴퓨터를 비롯한 모든 정보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합되는 ‘3세대 컴퓨팅’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센트리노는 PC용 마이크로프로세서(CPU) 시장에 주력해 온 인텔이 이를 위해 준비한 회심의 작품인 셈이다.

인터넷과 닷컴 열풍 이후 IT산업의 새로운 도약기인 포스트IT시대를 준비하는 인텔의 전략은 명확하다. 과거 PC와 인터넷 혁명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앞세워 이끌었던 것처럼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IT산업의 새로운 혁명을 주도한다는 것.

크레이그 배럿 인텔 회장은 인텔의 이 같은 목표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쉽게 컴퓨터를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텔 반도체 생산라인의 한 직원이 원판 형태의 실리콘 웨이퍼를 검사하고 있다. ‘다이(die)’로 불리는 웨이퍼 안의 작은 사각형들은 각각 ‘PC의 두뇌’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된다. 사진제공 인텔

▽PC를 넘어 유비쿼터스의 바다로=“이미 10년 전부터 또 한차례의 IT 혁명을 준비해왔다.”

폴 오텔리니 사장은 인텔은 더 이상 마이크로프로세서 전문업체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많은 사람들이 인텔을 그저 마이크로프로세서 업체 정도로 알고 있지만 그 뒤에는 어마어마한 빙산이 감춰져 있다는 것.

실제로 인텔은 몇년 전부터 통신용 칩, 네트워크 장비, 무선기기 등 새로운 시대를 열 미래 제품 개발에 전력해 왔다.

컴퓨터와 통신의 통합은 올 들어 인텔이 가장 관심을 쏟는 분야다. 모든 컴퓨터들이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는, 또 모든 통신기기를 컴퓨터로 활용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상한 포석이다.

침체된 IT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패러다임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받는다는 뜻에서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으로 불린다.

팻 겔싱어 인텔 부사장은 지난달 21일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텔 개발자 포럼에서 “인텔이 추구하는 컴퓨팅과 통신의 통합은 유비쿼터스와 생명공학기술(BT)로 귀결된다”고 밝혔다.

유비쿼터스로 상징되는 포스트IT 시장 개척에 바쁜 것은 인텔만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컴퓨터 운영체제 시장을 모바일 정보기기와 가전 등의 분야로 넓히기 위해 휴대전화기 사업에까지 뛰어들었다. 세계적 가전업체인 소니는 디지털컨버전스 시장을 겨냥해 유무선 통신으로 가전과 정보기기를 묶는 ‘코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HP 등도 가전과 유무선 정보기기의 기능을 통합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나노와 테라, 새 시대를 여는 핵심기술=오리건주 힐즈버러의 인텔 반도체 생산라인은 요즘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대량 생산을 앞두고 마지막 작업에 한창이다.

올해 선보일 제품은 90나노미터 칩으로 300㎜ 웨이퍼 한 장에 무려 1200억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다. 90나노미터 공정기술로 만든 반도체 셀은 사람 적혈구의 100분의 1(1 제곱 마이크로미터) 크기에 불과하다.

인텔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흐름에 맞춰 비즈니스 방식까지 바꾼다는 방침이지만 반도체는 여전히 주력사업의 하나이다. 오텔리니 사장은 이와 관련, “반도체야말로 새로운 컴퓨팅 시대를 열어가는 통합의 주역”이라고 말했다.

반도체칩을 더욱 작게 만드는 나노미터 기술과 지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보다 처리속도가 수백배 빠른 테라헤르츠(THz·1THz는 1000GHz) 기술 개발에 힘을 쏟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콜린 루버트 인텔 본사 홍보부장은 “2년마다 칩 크기를 30%씩 줄여 2009년에는 15나노미터 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라며 “나노미터 기술에 힘입어 프로세서 하나에 집적되는 트랜지스터 수는 현재 5500만개에서 2007년에는 10억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만이 살길이다=혈관 속에 삽입해 각종 질병을 진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칩 사이즈를 줄여 귀걸이처럼 달고 다니는 휴대전화기….

인텔은 이러한 일들이 실현 불가능한 상상 속의 일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세계 각지에 퍼져 있는 75개 인텔 연구소에서 7000여명의 연구진이 이러한 상상을 현실로 바꾸는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규 연구진 외에도 세계 각국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등 분야의 고급두뇌들이 인텔의 각종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인텔은 ‘반도체에 집적된 트랜지스터의 수는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창업자 무어의 법칙을 증명하기 위해 매년 연구개발에만 40억달러를 쏟아 붓고 있다.

인텔은 올 들어 한 발 더 나아가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디지털 컨버전스의 활동 무대를 ‘인간’에게까지 확장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겔싱어 부사장은 “유비쿼터스, BT, 건강관리 등의 사업은 10년 후 포스트IT 시장의 주류산업으로 떠오를 것”이라며 “컴퓨터의 영역에만 존재하던 무어의 법칙을 유비쿼터스와 BT의 영역으로까지 넓히겠다”고 밝혔다. 인류는 바야흐로 ‘포스트 IT’시대의 첫 문턱을 막 밟기 시작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

침체된 IT산업을 살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이란 컴퓨터와 인터넷을 물이나 공기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 이는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라틴어에서 따온 말로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과 실재하는 물리공간의 결합을 말한다.

이제까지의 정보화가 문명의 기반인 현실공간에서 벗어나려는 것이었다면 유비쿼터스는 정보화가 현실공간과 결합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전문가들은 당초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장은 2005년 이후에나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휴대전화와 개인휴대단말기(PDA)의 보급이 늘고 유무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IT업체들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장 쟁탈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기기로 네트워크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개념을 실생활에서도 실현해 인간 삶의 질을 한차원 높이는 생활혁명을 불러올 전망. 가정의 가전제품과 정보기기는 물론 도로, 다리, 터널, 빌딩 등 대부분의 사물이 거대한 네트워크로 묶여 각종 편리한 서비스가 봇물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휴대단말기로 홈네트워크에 접속해 가전기기를 조작하거나 달리는 차안에서 e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냉장고나 전자레인지로 인터넷상의 요리법을 찾아 밥상을 차리고 다음날 찬거리도 주문할 수 있다.

거리의 모든 사물은 인터넷에 연결돼 지하철 승객들은 자신의 정보단말기로 타고 있는 객차의 가동상태를 점검하고 다른 객차의 빈자리까지 확인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무선통신칩을 합친 센트리노 칩을 선보여 데스크톱PC와 노트북PC의 경계를 허문 인텔은 유비쿼터스의 기술을 활용한 생명공학기술과 건강관리 시장까지 넘본다는 구상.

실리콘라디오, 문장인식 컴퓨터, 위치인식센서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인텔은 각종 난치병 치료는 물론 집집마다 생명공학기술 관련 센서를 설치해 소비자들의 건강상태를 매일 자동으로 검진하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실리콘밸리=김태한기자 freewil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