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독자칼럼]전창옥/‘가족납골묘’ 선입견부터 버리자

입력 | 2003-04-04 18:28:00

전창옥


6일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꼽히는 ‘한식(寒食)’이다. 한식은 동지(冬至)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이날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풍습이 전해져오고 있다. 또한 나라에서는 종묘와 능원에 제향하는 한편 민간에서는 술과 과일을 마련해 성묘를 한다. 무덤이 헐었으면 잔디를 다시 입히기도 한다. 묘 둘레에 식목을 하는 것도 이날이다.

그러나 3, 4년 전부터 화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장묘 문화도 점차 변하고 있다. 외국은 이미 오래 전부터 선진 장묘문화가 뿌리내려 화장이 일반화돼 있다. 또 도심 인근에 대규모 납골묘가 조성돼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장묘문화의 선진화를 내세우며 대규모 화장장 건립 등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이에 따른 재정적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아직도 화장장 건립을 반대하고 납골묘를 단순한 호화분묘로 생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납골묘는 결코 호화분묘가 아니며 단순히 매장개념을 화장개념으로 바꾼 것은 더더욱 아니다.

가족납골묘의 경우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00위(位), 즉 100명의 납골까지 안치할 수 있다. 한번 건립해놓으면 대대손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세대의 조상들이 한 곳에 안치돼 있는 가족납골묘는 후손들이 자연스럽게 찾아가는 추모공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가족의 손을 잡고 찾아가 어머님을 회상하며 휴식도 취할 수 있는 추모공원이 바로 가족납골묘인 것이다.

매년 서울 여의도만 한 면적의 땅이 묘지로 잠식돼 가고 있다는 사실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묘지 증가에 따른 국토 잠식을 비롯해 자연환경의 훼손 및 묘지 확보난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가족납골묘라고 생각한다.

미래지향적인 선진 장묘 트렌드의 하나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가 널리 확산됐으면 한다.

전창옥 자영업·경기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