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군주인 국왕조차도 ‘백성의 나라’라고 말했다. 실제로는 왕 자신의 나라였는데도 말이다. 지금 같은 대명천지에 ‘대통령의 나라’는 생각지도 못할 말이다. 막상 그 자리에 오르면 그런 생각이 들지는 모르지만. 그러나 그 마음을 이기지 못하면 좋은 대통령이 될 수 없다.
▼‘국민의 나라’ 인식 덜 된듯 ▼
‘국민의 나라’에서 가장 힘든 일을 맡은 큰 일꾼으로 스스로를 자리매김할 때 국가원수는 비로소 ‘국민의 대통령’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어디 국민이 한둘인가. 생각도 다르고 어느 때는 검은 것을 좋아하다가도 하루아침에 흰 것을 최고라고 말하는 게 사람이다. 목소리 큰 사람의 주장을 옳은 것으로 여기는 세상에서는 국민의 뜻을 따르는 일도 쉽지 않다. 이렇듯 국민의 뜻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있다 해도 옳은 것이 아닐 경우 문제는 점점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지금 우리는 안팎으로 많은 어려움에 겹겹이 싸여 있다. 다 말할 필요는 없지만 경제도 어렵다. 외환위기 때가 무색할 정도로 힘들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교육도 기가 막힌다. 교육이 아니라 전쟁 같다. 어수선하기는 사회도 그렇다.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여기에 정치를 생각하면 골치가 아프다. 신당 만든다고 야단인데 그 신당이 없어서 정치가 잘못되었단 말인가. 여기에다 북한 문제를 생각하면 그만 뒤로 나자빠지게 된다. 이처럼 많은 일들이 서로 뒤엉켜 있다. 꼬여간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사람들은 이 모든 문제를 어떤 묘수로 풀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대통령을 바라보게 된다.
물론 그 기대가 쉽게 이루어지리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워낙 어렵다 보니 제갈공명이라도 뾰족한 수를 낼 수 없을 것 같다. 그렇지만 한 가지 놀랄 일은 집권층은 아직도 그들의 의미와 ‘국민의 나라’에 대한 인식이 덜 된 것 같다는 점이다. 솔직히 말해 ‘약자를 돕는 대통령’도 중요하다. 그러나 대통령은 옳고 해야 할 일을 선택해 집행하는 최고 결정자다. 어느 한 편만 도와주는 대통령이 아니라 해야 할 것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대통령이어야 한다. 한 편만 도와주는 대통령이라면 그는 모두의 대통령이 아니라 그들만의 대통령이 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다수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가장 올바른 것을 찾고, 그것도 나라를 위해 꼭 해야 할 일이면 당장은 비판을 받아도 밀어붙일 집념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물론 이 경우 꼭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사전에 밝혀 놓고 그것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이루어 놓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3개월 동안 이 정부는 너무 들뜬 채 세월을 보냈다. 집권의 감격을 너무 오래 즐겼다. 적어도 그 기간에 정부가 나가야 할 방향이나 청사진이 제시되었어야 했고, 그것에 따른 국민적 이해의 폭도 넓혀가면서 개혁과 변화의 틀을 튼튼하게 짰어야 했다.
그러나 문제가 생길 때마다 대통령이 직접 달려가 해결하는 식의, 어느 면에서는 대통령이 꼭 해야 할 일은 뒤로 미룬 채 하지 않아도 좋을 일에 더 부지런히 매달렸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다 보니 실제 일을 맡아 집행해야 하는 사람들은 뒤로 밀려나게 되었고 대통령 한 사람의 정부가 되어 버린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대통령다운 대통령이 되는 일이 정말 중요하다. 정직한 대통령, 성실한 대통령, 모범적인 대통령, 유능한 대통령, 그리고 역사에 남을 대통령 등 국민의 기대는 끝이 없다. 이들 기대 중에 어느 하나도 버릴 것이 없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너무 들뜬 채 보낸 3개월 ▼
훌륭한 대통령을 갖고 있다는 기쁨을 국민 모두가 누릴 때 비로소 ‘국민의 나라’가 자리 잡을 수 있다. 어느 한 편에 선 대통령이 아닌 모두의 대통령, 내일을 바라보면서 오늘의 문제를 극복하는 대통령만이 국민의 나라에서 존경받을 수 있는 대통령이다. 정말이지 우리는 지금 그러한 대통령에 대한 한없는 기대감을 갖고서 그것이 충족될 수 있다는 확신감에 젖어 있다.
진덕규 객원 논설위원·이화여대 교수 dkjin@ew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