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학회에서 펴낸 ‘우리말 큰사전’에는 속어를 ‘속된 말’ 또는 ‘낮은 말’이라고 풀이한다. 비어(卑語)와의 경계가 모호해 합해서 비속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속어는 격식이나 예절을 갖춰야 할 공적인 자리에서나 점잖고 신중한 문장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신선하고 감칠맛이 있지만 경박하거나 교양이 없는 말이라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어라고 해도 같은 사회집단에 속한 사람끼리 사용하면 친근감과 동질감을 강화해주기 때문에 항상 천박하다고 여길 일은 아니다. 문학작품이나 영화에서 속어를 많이 쓰는 것은 무색무취한 보통 말로 복잡하기 한량없는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말하는 이의 태도나 심리상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비속어는 언어의 표현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국 최초로 국어비속어 사전을 펴낸 김동언(金東彦) 강남대 교수는 “비속어가 인간의 심성을 노출시킴으로써 말의 소통을 빨리, 쉽게, 인간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 비속어는 억압된 감정을 배출하는 효과도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길거리 속어를 공적인 자리에 도입한 최초의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갖게 될 것 같다. 속어 사용이 서민 이미지에도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노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역대 대통령은 ‘목이 너무 뻣뻣한’ 존재였기 때문에 탈권위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됐다고 해명했다.
▷인권변호사로서 노동자들과 대화할 때 “집회 참석자가 몇 명이나 되느냐”고 묻는 것보다 “쪽수가 몇이냐”고 하는 것이 친근감 고취에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같은 표현은 국가원수의 격에 걸맞지 않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말 공관장 부부 모임에서 “국외에서 볼 때 한국이 ‘개판’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도 민주주의 한번 해보자는 게 소망”이라고 말했다. ‘개판’ 같은 속어는 소설에서 생동감을 살리는 표현이 될 수 있지만 대통령이 대사 부부들 앞에서 하는 말로는 영 어울리지 않는다.
▷노 대통령은 “과거 대통령의 말이 적절하지 않으면 적절하게 거르는 것이 언론의 관행이었으나 노무현의 것은 샅샅이 뒤집어내 재밋거리로 삼았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해명에는 몇 가지 오류가 있다. 과거 권위주의 시절의 대통령들은 권위를 지키기 위해서도 공적인 자리에서 비속어를 쓰지 않았다. ‘목이 뻣뻣했던’ 대통령들의 권위가 존경스럽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거친 표현을 쓴 화자(話者)가 ‘언론이 거르지 않는다’고 따지는 것은 얼굴에 마마자국이 생긴 처녀가 거울을 나무라는 격이다.
황호택논설위원 hthw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