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공위성 역할 어디까지…산사태 예고-불법묘지 적발 '척척'

입력 | 2003-09-16 18:12:00

내년 2월에 발사될 아리랑 위성 2호.


《얼마 전 ㈜쓰리지코어의 장은미 이사(지리학 박사)는 경기 고양시와 양주군 일대 묘지 24곳을 샅샅이 뒤졌다. 미국 위성이 포착한 이 지역의 묘지가 실제 크기와 같은지, 최근에 생긴 묘지인지 대조하기 위해서였다.

장 이사는 “위성영상에서 묘지를 조사한 결과가 현장답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직접 묘지가 있는 현장에 찾아가지 않더라도 위성을 통해 묘지의 위치와 신축 여부, 그리고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법률로 개인묘지의 면적을 30m² 이내로 규제하고 있지만, 시간 비용 인력의 문제 때문에 일일이 현지조사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위성을 이용해 컴퓨터 앞에 앉아서도 불법묘지를 족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게 된다.》

내년 말 발사될 아리랑 위성 2호가 포착할 영상은 이 회사가 묘지를 찾는 데 사용한 이코노스 위성처럼 1m 크기의 물체까지 포착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게 된다. 흑백으로는 첩보위성급인 1m의 해상도를, 컬러로는 4m의 해상도를 갖는다.

아리랑 위성 2호의 활용은 불법·호화묘지를 잡아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항공우주연구원 김용승 박사는 “아리랑 위성 2호는 지도 제작과 도시, 농경지, 산림의 관리는 물론 적조, 황사, 산불, 산사태 같은 재해를 감시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여름마다 문제를 일으키는 적조의 경우 아리랑 위성 2호의 고해상도 카메라가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아리랑 위성 2호는 고도 685km 상공에서 매일 지구를 돌며 우리나라 해안의 플랑크톤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 언제 적조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위해서다. 해양연구원의 안유환 박사는 “위성 영상에 나타난 색상 패턴에서 적조가 발생할 때의 특징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아리랑 위성 2호의 영상으로 산사태 가능성이 큰 지역도 찾아낼 수 있다. 지질자원연구원 지광훈 박사는 “이전에 산사태가 일어났던 지역의 지질, 토양, 경사, 나무 종류 등을 분석해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특정 지역에서 산사태가 일어날 확률을 알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외국에서는 인공위성이 별걸 다 하는 데 쓰이고 있다. 요즘 유럽에서는 언제 어디서 맛있는 포도를 딸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위성 영상을 사용하려는 ‘바커스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포도나무의 성장에 따라 색깔과 모양을 감시해 적기에 포도를 수확하고 토양, 지질, 경사도가 포도의 맛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위성 영상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 유럽우주기구는 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해 내년부터 위성으로 자세한 초목 지도를 제작해 전염병 학자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90%의 치사율을 보이는 에볼라 바이러스는 숙주 생물체가 무엇인지 아직 모르고 있다. 연구자들은 위성 영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지역의 공통된 생태학적 특징을 발견해 감염이 의심되는 지역을 결정하려는 것이다.

지난달에는 미 항공우주국이 인공위성으로 수일 전에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위성에서 전파를 지표로 쏜 후 산란되는 정도를 파악해 지표의 변화를 감지하는 데 1년에 1mm의 지표 움직임을 잡아낼 수 있어 지진을 일으킬 만한 수준의 비틀림을 발견할 수 있다.

또 지진이 일어나기 직전에 지표의 온도가 갑자기 올라가는데, 위성의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면 이런 지역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충환 동아사이언스기자 cosmo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