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체제로 입력해왔던 학교 큰 혼란 ▼
10여개 대학의 입학처장들이 정시모집 접수 때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외에는 어떠한 형식의 자료도 받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을 듣고 과거 체제로 입력해 왔던 학교의 고3 담임으로서 당혹감을 느끼고 있다. 입학처장들의 이러한 주장은 NEIS를 사용하지 않는 학교의 수험생들에게 대입 응시 기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겠다는 발상이나 마찬가지다. 필자가 고3 제자들에게 ‘너희 생활기록부 내용을 NEIS로 입력해 CD로 만들어서 전국 380여개 대학에 4년 동안 보관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니 대부분이 거부 의사를 밝혔다. 특히 교육부가 ‘담임교사가 NEIS로 처리하지 않는 학교는 다른 교사들이 대신 입력하도록 하라’고 사실상 대리입력 지침을 내린 것을 보며 교육부는 학생의 인권이나 담임의 권한을 무시하더라도 자신의 목적만 달성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김성화 서울 금천고 교사
▼인권논란 해결뒤 점진적으로 시행해야 ▼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10개 대학에서 생활기록부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만 수용하겠다는 것은 NEIS 시행을 강제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만약 한 고등학교가 NEIS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그 학교 학생은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주요 대학에는 원서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또 7차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대학입시 체계가 더욱 복잡해진 상황에서 NEIS의 강압적 채택은 학생들에게 불안감을 가중시킬 위험이 높다. 아직도 논란의 소지가 많은 NEIS를 무조건 수용하겠다고 할 것이 아니라 인권침해 논란 등을 해결한 뒤 점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인재를 육성하는 대학에서 이처럼 독단적인 방침을 강행한다면 백년대계는 더욱 멀어질 뿐이다.
전수정 고등학생·서울 서초구 서초3동
▼교육부-전교조 갈등에 수험생들만 피해 ▼
2004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을 앞두고 다시금 불거진 교육인적자원부와 전교조간의 NEIS 갈등을 지켜보니 착잡한 기분이 든다. 전교조와 합의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NEIS 추진을 강행하려는 교육부의 행정 방식에 문제가 있지만, 인생의 중대한 기로에 서 있는 제자는 나 몰라라 한 채 투쟁 일변도로 나서는 전교조측의 행태도 납득하기 어렵다. 결국 대학 진학 하나만 바라보고 수년간 전력투구해 온 수험생들이 그 사이에서 피해를 보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NEIS가 인권 침해 가능성이 있고, 보안 시스템이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인생이 걸린 대학입시를 눈앞에 둔 수험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부차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부족한 수면과 과중한 입시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안쓰러운 마당에, 그러한 노력의 대가를 정당하게 보상받을 기회마저 잃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송성순 주부·부산 동래구 온천3동
▼NEIS '무조건 반대' 학생위한 길인가 ▼
서울 일부 대학에서 대입 정시모집 전산자료를 NEIS 학생부로 통일키로 한 방침에 대해 전교조가 또다시 반발하고 나서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전교조측의 주장대로 학생의 인권보호라는 대의명분이 중요하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대입 전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NEIS의 장점은 배제한 채 ‘모 아니면 도’ 식으로 반대하는 전교조의 모습이 과연 진정 학생들을 위하는 길인지 의심스럽다. 입시전형에 혼선이 빚어질수록 학생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자신이 제대로 평가받았는지에 대한 의구심도 깊어질 것이다. 전교조측은 무조건 기존의 입장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대학입시라는 인생의 관문을 목전에 둔 학생들을 먼저 생각하고 절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심언기 대학생·경기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알림 ▼
다음주 ‘독자토론마당’ 주제는 ‘로또복권 등의 최고 당첨금 제한 논란’입니다. 국회의원 35명은 최근 로또 등 모든 복권의 최고 당첨금을 10억원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복권의 발행 및 관리에 관한 기본법안’을 발의했습니다. 고액의 복권 당첨금이 사행심을 조장하고 근로의욕을 저하시키므로 최고 당첨금을 제한하는 것과 함께 온라인 복권의 구매대행 제한, 한 사람에게 10만원어치 이상의 복권 판매 금지 등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부 네티즌 등은 이 문제의 판단은 소비자에게 맡겨야지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보내주십시오.
참여하실 독자는 의견을 500자 정도로 정리해 다음주 월요일(11월 24일)까지 본사 기획특집부로 팩스(02-2020-1299)나 e메일(reporter@donga.com)을 보내주시면 됩니다. 실명(實名)과 주소, 전화번호 등 정확한 연락처를 명기하시기 바랍니다. 채택된 글에 대해선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