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문화가 흐르는 한자]窮 鼠 齧 猫 (궁서설묘)

입력 | 2003-12-02 17:36:00


窮 鼠 齧 猫 (궁서설묘)

窮-궁할 궁 鼠-쥐 서

설-깨물 설 猫-고양이 묘

塗-진흙 도 蹶-일어날 궐

漢武帝(한무제)는 匈奴(흉노)정벌에 따른 재정위기를 타개하고 또 재벌과 지방 豪族(호족)의 세력을 꺾기 위해 획기적인 경제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소금과 철의 생산, 화폐의 주조 등을 국가 專賣事業(전매사업)으로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朝廷(조정)의 권력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재정도 넉넉해 졌고 백성들도 잘 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막대한 利權(이권)을 빼앗긴 재벌이나 지방 豪族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그 뒤 기원전 81년, 昭帝(소제)는 輿論(여론)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지식인 60여명을 불러 중앙 공무원과 이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자리를 마련했다. 중국 최초의 공개 討論會(토론회)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 때의 토론을 대화형식으로 엮은 것이 西漢 桓寬(환관)의 鹽鐵論(염철론)이다.

먼저 공무원을 대표하는 御史大夫(어사대부·현재의 검찰총장) 桑弘羊(상홍양)및 고관들은 다들 현재의 국가 專賣制度(전매제도)를 적극 찬성했지만 지식인들은 격렬히 반대하고 나섰다. 토론은 갈수록 격렬해져 국가의 재정문제를 넘어 통치방법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桑弘羊을 비롯한 공무원들은 嚴法(엄법)을 통한 法治主義(법치주의)를, 지식인들은 禮治(예치)를 주장했다. 그러니까 전자가 法家(법가)에 속한다면 후자들은 孔孟(공맹)의 儒家(유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桑弘羊 측이 과거 역사적 사례를 들어 엄한 法이야말로 최고의 통치방법이라고 역설하자 이에 맞서 지식인들은 秦始皇(진시황)의 예를 들었다. 곧 당시 엄하기로 이름난 法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때문에 백성들은 塗炭(도탄)에 빠져야 했으며 마침내 嚴法을 이기지 못해 도처에서 蹶起(궐기)했던 점을 들었다. 결국 이 때문에 陳勝(진승)과 吳廣(오광)의 반란이 일어나 秦나라는 불과 15년 만에 망했다고 했다. 곧 백성을 엄한 法으로 혹독하게 내몰기만 하면 결국에는 저항에 부딪쳐 社稷(사직)은 망하게 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것보다는 仁義(인의)에 의한 통치가 더 낫다는 것이었다.

지식인들은 그것을 고양이와 쥐의 관계에 比喩(비유)했다. 쥐는 고양이만 보면 무서운 나머지 오금을 못 펴지만 막다른 골목에 처하게 되면 고양이를 물 수도 있다는 것이다. 窮鼠설猫는 이를 뜻하는 말이다. 桓寬의 鹽鐵論 본문에는 ‘窮鼠설(리,이)’(궁서설리)라고 표현했다. 여기서 (리,이)는 ‘살쾡이’를 뜻한다.

鄭 錫 元 한양대 안산캠퍼스 교수·중국문화

sw478@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