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섬 지역 주민들의 식수난을 해소하기 위해 해수 담수화 설비를 계속 늘려가고 있으나 설비 가동에 따른 전기료 부담이 크고 부품 조달도 어려워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수담수화(海水淡水化)는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해 식수나 공업용수를 만드는 일이며 담수화 방식에 따라 증발법과 결정화법, 이온교환막법, 용제추출법, 가압흡착법 등이 있다.
2일 경남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1996년부터 160여억원의 국비와 지방비를 들여 경남과 전남, 충남 등 전국 44곳의 섬에 해수담수화 설비를 완공했고 77억원의 사업비를 책정해 12곳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44곳의 시설용량은 하루 2890t이며 급수인구는 1만2000명.
설비가 완공된 44곳 가운데 10여 곳은 가동을 하다가 고장 및 전기료부담 등의 이유로 이미 가동이 중단됐고 나머지 5곳은 가동을 준비 중이다.
경남의 경우 전체 20곳 가운데 통영시 읍도와 거제시 지심도, 남해군 호도 등 10곳은 잦은 고장과 태풍 ‘매미’로 정상 가동이 되지 않고 있다.
상당수 해수 담수화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고 주민들의 외면을 받는 것은 정상 가동시 가구당 월 평균 5∼7만원의 전기료를 부담해야 하고 섬 지역 주민들이 고령이어서 복잡한 기계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염분 분리막 등 설비의 주요 부품이 대부분 외제여서 고장이 생기면 수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다 부품 값이 비싼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담수화 설비를 가동하는 전기에 KW당 53원꼴의 산업용 요금이 부과돼 농업용의 KW당 23원 보다 훨씬 비싸다”며 “법령을 정비해 전기요금을 우선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수자원공사가 해당 자치단체와 계약을 맺고 해수 담수화 설비를 위탁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방침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담수화 연구센터 박상길(朴商吉·45·한국 폴주식회사 부장) 기술자문위원은 “영세업체들이 저가 수주를 하면서 장비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주민들이 설비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지역마다 설비가 달라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더라도 어려움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창원=강정훈기자 manm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