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조류독감 왜 확산되나

입력 | 2003-12-21 14:15:00


조류(鳥類)독감이 처음 발생한 충북 음성군에 이어 천안에서도 확인됐다. 또 충북 청주와 전남 나주, 경북 경주에서도 발생 의심 신고가 접수됨에 따라 이번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위험지역(최초 발생 농장 중심으로 반경 3㎞이내)'과 '경계지역(반경 3~10㎞이내)'에 대한 방역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상태에서 이들 지역 밖으로 조류독감이 퍼졌기 때문.

여기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의뢰한 최종검사에서 이번 조류독감이 '홍콩 조류독감'처럼 인체에 유해하다는 판정까지 나온다면 사회, 경제적으로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왜 확산되나=농림부는 확산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추정하고 있다.

해외에서 수입한 농축산물을 통한 유입설, 철새 전파설, 전국적으로 활동하는 사료 및 가축 운송차량 전파설.

수입 농축산물을 통한 해외 유입설은 이번 조류독감이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내에 없던 바이러스가 새로 생긴 것은 외국에서 들여온 수입 농축산물이 전국으로 퍼지면서 자연스럽게 전파될 수 있기 때문.

철새 전파설은 조류독감 발생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최초 발생 농장 인근에 있는 저수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청둥오리 떼가 바이러스를 옮겨와 배설물이나 깃털 등을 통해 닭이나 오리에 전파했을 것이라는 것.

현재 이들 청둥오리 떼에 대한 배설물 및 바이러스 검사가 진행 중이며, 그 결과는 2~3일 후에 나올 예정이다.

철새 전파설이 맞는 것으로 판명되면 조류독감 확산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철새 도래지가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기 때문.

농축산물 운송차량 전파설은 조류독감 최초 발생일이 당초 알려진 이달 5일 이전이었을 때 성립한다. 최초 발생일 이전부터 바이러스가 국내에 들어와 소독작업을 하지 않은 운송차량들이 바이러스를 묻혀 전국적으로 확산시켰다는 것.

▽철저하지 않은 방역 체계도 문제=일부 전문가들은 위험지역 내 방역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 않은 것이 '화근(禍根)'인 것 같다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12일부터 위험지역에 공무원과 군인을 보내 이 지역 내 닭과 오리를 도살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조류독감이 독성이 강하고 인체 감염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공무원이나 군인들이 방역 작업에 동원되는 것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

실제로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음성군은 방역 작업에 투입할 공무원 명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상당수 공무원들이 "몸이 아프다"는 등의 이유로 꺼리는 바람에 하루에 겨우 30여명만 동원할 수 있었다.

인근 군 부대도 "인체 감염 위험이 없다고 확인되지 않는 한 매몰 현장에 병력을 투입하기 어렵다"며 초기에는 통제 초소에만 50여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관계 기관 간 엇박자도=초기 대응 과정에서 농림부와 보건복지부가 이견을 보였던 것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농림부 산하 국립수의과학연구원은 축산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험지역 내에서만 전면 도살을 고집한 반면 복지부 산하 국립보건원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경계지역까지 도살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 것.

논란 끝에 결국 농림부 주장이 받아들여졌지만 결과적으로 초기에 조류독감을 막을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린 셈이 됐다.

그러나 위험지역 안에서도 인력 부족으로 초기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계지역으로 도살 범위를 확대했다 하더라도 조류독감을 근절시켰을지는 의문이다.

송진흡기자 jinhu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