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춘문예]시 당선작/독산동 반지하동굴 유적지

입력 | 2003-12-31 16:18:00

그림 석철주


◇독산동 반지하동굴 유적지-------김성규

가슴을 풀어헤친 여인,

젖꼭지를 물고 있는 갓난아기,

온몸이 흉터로 덮인 사내

동굴에서 세 구(具)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시신은 부장품과 함께

바닥의 얼룩과 물을 끌어다 쓴 흔적을 설명하려

삽을 든 인부들 앞에서 웃고 있었다

사방을 널빤지로 막은 동굴에서

앞니 빠진 그릇처럼

햇볕을 받으며 웃고 있는 가족들

기자들이 인화해놓은 사진 속에서

들소와 나무와 강이 새겨진 동굴 속에서

여자는 아이를 낳고 젖을 먹이고

사내는 짐승을 쫓아 동굴 밖으로 걸어 나갔으리라

굶주린 새끼를 남겨놓고

온몸의 상처가 사내를 삼킬 때까지

지쳐 동굴로 돌아오지 못했으리라

축 늘어진 젖가슴을 만져보고 빨아보다

동그랗게 눈을 뜬 아기

퍼렇게 변색된 아기의 입술은

사냥용 독화살을 잘못 다루었으리라

입에서 기어 나오는 구더기처럼

신문 하단에 조그맣게 실린 기사가

눈에서 떨어지지 않는 새벽

지금도 발굴을 기다리는 유적들

독산동 반지하동굴에는 인간들이 살고 있었다

▼당선소감-김성규▼

△1977년 충북 옥천 출생 △2003년 명지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한 소년이 검은 배를 띄운다. 눈을 감고 바다의 폭을 가늠해 본다. 노을이 지자 닻을 올린다. 며칠 동안 노를 저어가자 무언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처음 닻을 올렸을 때와는 바다의 깊이와 폭이 다르다.

여러 번 낙선을 하고 당선통지를 받았다. 책장에 꽂혀있는 책을 바라본다. 시를 쓴다는 것, 책을 읽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인간의 이중성을 파헤치는 것, 인간의 아름다움과 비참함을 노래하는 것, 인간의 위대함과 인간의 초라함을 불평하는 것, 인간이 인간을 구원하려다 실패하는 것.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아직도 감이 잡히지 않는다. 하나를 빼면 전체가 도미노처럼 무너질 것 같은 불안감이 나를 밀어온 것 같다. 처음 출발했을 때 바다의 저편이라 믿어온 양쪽 해안이 두 개의 모래언덕에 지나지 않았을까. 모래에 떠밀려 천천히 이동하는 모래산처럼 세상을 조용히, 차분하게 살고 싶다. 그러다 보면 잠깐 샛별이 뜨고, 별의 싹이 트고, 별의 잎이 피리라.

어두워지는 물결을 떠다니며 소년은 생각한다. 지금이라도 출발했던 곳으로 돌아가야 될까. 얼마나 왔으며 또 얼마를 더 가야하는가. 처음 출발할 때의 소년은 이미 청년이 되었고 소년이 닻을 올렸던 해안은 지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아름답고 비정한 세계에서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건너기 위해 닻을 올린다.

자식을 구원하려다 이제는 반백이 되어버린 부모님께 밥 한 끼라도 차려드려야겠다. 같이 표류하고 있는 문학회 친구들, 부족한 제자를 다독여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내 시(詩)가 부족함에도 돛을 달아주신 심사위원 선생님께 함부로 닻을 내리지 않을 것임을 약속한다.

유종호(왼쪽) 김명인

▼심사평-절제된 수사, 상상력 빛 더해▼

당선작을 골라내지 못했던 지난해의 부담 탓일까? 예심을 거친 스무 명의 작품을 되풀이해서 읽으면서 선자(選者)들은 공연히 긴장되고 조바심이 났다. 작년에 비추어 올해의 응모 시편은 시적 진지함이나 다양성에서는 확연히 향상되어 있었다. 그러나 판에 박힌 수사나 장식적 언술 탓인지, 작품의 개성이나 진정성을 드러내는 데서는 별다른 진전이 느껴지지 않았다. 산문 투의 엇비슷한 넋두리도 여전하였으며, 한두 편 돋보이는 응모 시만으로는 그 가능성 또한 쉽게 가늠되지 않았다. 마지막까지 선자들이 주목한 시편은 최동일, 이상훈, 주예림, 정구영, 문신, 김성규 제씨의 작품들이었다.

최동일의 시에서는 삶의 풍경과 굴곡을 읽어내려는 투명한 시선이 살펴졌다. 그러나 ‘할머니를 바라보다’ 외에는 시야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상훈과 주예림의 경우는 소외된 삶의 애환을 능숙한 솜씨로 공들여 시화했다는 점에서 장점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익숙함이 어딘지 모르게 낡았다는 인상을 갖게 하였다. 정구영의 응모 시들은 사유의 힘이 돋보인다. 시어의 선택도 비교적 선이 굵고 선명하다. 그럼에도 직조된 시상이 다소 작위적이어서 시의 깊이나 높이로 확산되지 못하였다. 똑같은 지적은 문신의 응모 시에도 적용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응모자는 ‘우리들의 생활’과 같이 범상한 일상성을 따뜻하게 갈무리하는 작품도 함께 묶고 있어서 마지막까지 아쉬움을 느끼게 했다.

결국 신춘의 지면을 장식하기에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김성규의 ‘독산동 반지하동굴 유적지’가 당선작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위에서 지적된 단점들이 비교적 적게 살펴졌던 까닭이다. 암울한 세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무거움을 수사적 절제로 감당해내려 한 그의 태도도 시적 상상력을 한결 돋보이게 만들고 있다. 그렇지만 작품들 간의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아울러 지적해 두어야겠다. 축하와 함께 분발을 당부한다.

유종호 문학평론가

김명인 시인·고려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