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오면 모든 사람의 몸이 움츠러들기 마련이지만 특히 추위를 타는 곳이 있다. 신입생을 선발하는 지방대학들이다. 대학 관계자들 사이에 ‘입시 지옥’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2003년부터 일부 대학이 대규모 미달사태를 빚으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부산지역 15개 4년제 대학과 10개 전문대학은 지난 1년간 신입생 지원율을 높이기 위해 열심히 뛰었다. 의욕이 지나쳐 경쟁률을 의도적으로 부풀린 대학도 있었다. 등록률을 높이려고 휴대폰과 해외여행까지 신입생들에게 선물로 주는 대학도 나타났다.
전문대는 교수들이 학생모집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하기 위해 학과별로 신입생 수에 따라 월급을 차등지급하는 독립채산제와 정원축소라는 ‘극약처방’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는 듯하다. 아직 최종등록 마감까지는 시간이 남아 있지만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더 떨어졌기 때문에 미달 규모가 커질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특히 3, 4개를 제외한 나머지 전문대는 경쟁률 3대 1에도 못 미쳐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4년제 대학도 지난해에 이어 10% 이상 정원이 미달되는 곳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최악의 위기상황 속에서도 근본적인 사태해결을 위한 대학 통폐합 등 과감한 구조조정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잠잠하다. 지방대의 몰락이 대학의 책임만은 아니지만 이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대학이다.
과감한 정원 축소로 교육의 질을 높이고 비슷한 수준의 대학끼리 전략적인 제휴와 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지 않으면 재정악화로 학교의 문은 닫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밖에 없다.
교육부도 경쟁에서 뒤떨어지는 대학은 퇴출돼야 한다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위기에 몰린 일부 사립대학들이 ‘어떻게 되겠지’라는 생각과 교내 구성원들의 이해타산 때문에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이 안타깝기만 하다.
부산=석동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