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이 연초부터 대주주 자금횡령 스캔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올해 들어 밝혀진 대주주 횡령 사건만 4건. 2002년과 지난해는 연간 기준으로 2건과 3건에 그쳤다. 위자드소프트와 디이시스의 최대주주가 5일 각각 54억원과 20억원의 회사 돈을 가로챈 것으로 밝혀진 데 이어 7일 성광엔비텍이 106억원, 8일 엔에스아이가 42억원의 대주주 횡령 스캔들에 휩싸였다.
최근 대주주 횡령 사건이 자주 발생하는 것은 상당수 코스닥기업의 자금사정이 매우 악화됐기 때문. 자금압박을 받고 있는 기업들이 무분별하게 인수합병(M&A)을 시도하면서 대주주의 공금횡령이 늘고 있다. 위자드소프트의 경우 지난해 12월 이후 최대주주가 세 번이나 바뀌면서 회사의 자금관리가 극도로 허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명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새로운 인수자는 총 인수금 중 10∼30%의 계약금만 걸고 법인통장을 통째로 받아가는 것이 대다수 코스닥기업의 관례”라며 “12월 결산법인의 지난해 실적과 감사보고서가 나오는 3월 말까지 대주주 횡령 스캔들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증시전문가들은 코스닥시장의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 내부고발자제도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코스닥위원회는 올해부터 내부고발 적용 대상을 불공정거래에서 경영진 부정행위로 확대하고 포상금 지급 한도를 2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그러나 개인신상 보호 강화와 포상금 확대 없이는 이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들어 코스닥시장은 30개 우량기업으로 구성된 ‘스타지수’를 공표하고 지수단위를 100에서 1000으로 끌어올리는 등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코스닥시장에 꼬리표처럼 따라붙은 ‘불투명성’을 먼저 제거하지 않는 한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는 힘들 것이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