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新아크로폴리스]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입력 | 2004-02-04 18:01:00


《직장 돈 휴식은 삶의 밑천이다. 진로 결정을 앞둔 젊은이라면 평생을 두고 고민해야 할 화두이기도 하다. 이번 회 ‘젊은 리더를 위한 민주시민강좌’에서는 전주교대 박병기 교수(윤리학)와 4명의 젊은이가 ‘가상면접’을 통해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를 함께 고민했다. 박 교수가 직업 선택과 관련한 핵심 질문을 던진 뒤 학생들과 함께 묻고 답했다. 현직 헤드헌터인 IBK헤드헌팅의 김미환 과장(30)도 박 교수를 도와 ‘가상면접관’으로 나섰다.》

▼박병기 전주교대 교수와 학생들의 '면접 대화'▼

#질문1. 화가의 작품 활동은 일인가, 유희인가.

▽이연주=일이죠. 놀이는 힘들면 안 할 수도 있잖아요. 직업으로 하는 일이라면 고통스러워도 그만둘 수 없어요.

▽김남이=밤 새워 디자인을 하고 나면 뭔가 해냈다는 뿌듯함과 쾌감이 들 때가 많아요. 고통을 즐기며 일할 수도 있고, 일과 놀이가 하나가 될 수도 있죠.

▽백승철=직업 자체가 창조적인 일이고 그 일을 좋아하기만 한다면 일하는 과정에서 고통이 따르더라도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어떤 직업에 대한 만족은 자신이 그 일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것이죠.

▽박병기 교수=일은 구체적 결과를 염두에 두지만 놀이는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요. 쉰다는 것은 일을 전제로 성립하는 상대적 개념이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려면 일 놀이 휴식 등의 의미가 무엇인지 되새기고 이를 조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해요.

#질문2. 직업은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

▽김남이=놀기만 한다면 성취감을 느낄 수 없죠. 직업은 자신이 한 걸음씩 성장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해요.

▽조준홍=개인은 사회를 구성하는 톱니바퀴와 같아요. 톱니바퀴가 잘 맞물려 돌아가야 사회를 유지할 수 있죠. 사회 구성원으로 살려면 당연히 직업이 필요한 것 아닐까요.

▽이연주=대학에 합격한 뒤 집에서 빈둥거리다가 잠자리에 들 때면 ‘내가 왜 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지만 설거지라도 하는 날에는 하루의 의미가 달라져요. 직업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수단만은 아닌 것 같아요.

▽박 교수=자본주의 사회에서 직업은 자기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활동 욕구에서 돈을 버는 일로 그 의미가 축소됐지요. 자본주의는 모든 사람에게 ‘네 생존은 네가 책임지라’고 명령하고 누구도 이 명령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요. 이 때문에 대학이 취업 준비기관으로 전락하는 현상도 벌어지고….

▽백승철=저는 항공물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기로 했는데, 대학에 가는 이유가 돈을 벌고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한 것뿐이라면 인생 자체가 편협해질 것 같아요.

#질문 3. 10억원을 모으는 데 얼마나 걸릴까.

▽이연주=저는 다큐멘터리 PD가 되고 싶은데, 만약 방송국 PD가 된다면 15년 정도요? 영화감독이 돼 ‘대박’을 터뜨리면 더 빨라질 수 있겠죠.

▽백승철=30대 초중반이라면 5000만원에서 1억원 정도의 연봉은 받아야죠.

▽김미환 과장=30대 초중반이 연봉 500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는 직장은 그리 많지 않죠. 돈에 대한 현실 감각을 더 키울 필요가 있겠네요.

▽박 교수=자본주의 사회에서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돈에 대한 적당한 관심과 인식이 필요해요. 돈을 버는 것, 쉬는 것, 노는 것에 대해 나름대로 관점이 서 있어야 만족하는 삶을 살 수 있어요.

# 질문 4. 어떤 일을 하며 살아야 할까.

▽김남이=제가 중학교에 다닐 때는 ‘아바타’라는 말조차 없었어요. 지금은 인터넷 채팅이 인기를 끌면서 아바타 캐릭터 디자인이란 새로운 직종이 생겼죠. 세상의 흐름을 놓치지 않는다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지 않을까요.

▽조준홍=너도나도 의대, 법대를 가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죠. 어떤 직업이 나에게 알맞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지부터 고민할 생각이에요. ‘국경없는 의사회’ 등에 가입해 오지를 돌며 봉사와 문화 체험을 하고 싶다는 생각도 갖고 있어요.

▽박 교수=직업을 구하기 위해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일도 중요하지만 시대의 흐름을 꿰뚫어보는 눈도 키워야 해요. 변화의 흐름을 무비판적으로 좇기만 한다면 창조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지요.

▽김남이=디자인으로 평화운동의 메시지를 전한다면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겠네요.

▽김 과장=모두 미래의 자기 모습을 구체화하기 위해 한 달에 한 번씩 자신이 한 일을 정리해 보면 어떨까. 4년 후에 진짜로 이력서를 써야 할 때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결정하고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정리=박용기자 parky@donga.com

▼참석자▼

김남이(21·삼성 아트앤디자인인스티튜트(SADI) 입학 예정)

백승철(18·한국과학기술원(KAIST) 입학 예정)

이연주(20·연세대 사회계열 입학 예정)

조준홍(19·미국 존스홉킨스대 의공학부 입학 예정)


▼왜 일하며 살아야 할까▼

현대인들은 누구나 일을 하며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일을 하면서 즐거운 마음을 갖기보다는 마지못해 하는 사람이 많다. 일하는 순간순간 간절히 쉬고 싶다는 생각이 떠오르거나 놀고 싶다는 강렬한 열망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인간에게 일이란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본래 사람이 일을 해야만 하는 존재라면 휴식과 놀이는 어떤 것일까.

자본주의 생활원리에서 일은 곧 직업을 의미한다. 직업을 통해 자신의 생존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일에 대한 자발성이 사라질 수 있다. 또 일은 고통스럽다거나 생존을 위한 수단이라는 왜곡된 인식이 싹트게 된다. 일과 휴식, 일과 놀이 등이 철저히 분리된 삭막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 해답의 출발점은 사람들이 본래 일 자체를 즐길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서 찾아야 한다. 인간은 한편으로는 ‘놀이하는 존재’인 동시에 일을 하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승화시키는 ‘일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직장에서 보내는 그 많고 핵심적인 시간들을 단지 돈을 벌기 위해서만 소비한다면 그것은 삶 자체의 낭비로 이어질 수도 있다.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고 일을 하면서 온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훈련을 함께 받는다면 일의 의미를 제대로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직업 준비의 장으로 전락한 대학도 본래는 삶의 의미를 되새기며 사회와 역사를 인식할 수 있는 틀을 만드는 곳이다.

박병기 전주교대 교수·윤리학

▼다음 주의 ‘新아크로폴리스’는▼

△주제=종교, 어떻게 이해하고 믿을 것인가?

△강사=장석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주요 내용=종교의 의미와 우리 시대의 종교적 자화상

※서강대 국제문화교육원에서 진행 중인 공개강좌는 안민포럼(www.thinknet.or.kr)으로 문의 바랍니다. 02-743-17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