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코리안 지오그래픽]부안 내소사 전나무숲

입력 | 2004-02-18 18:15:00


눈 내린 내소사. 어제까지만 해도 상상 속 그림이던 그 설경. 400m나 이어지는 내소사 전나무 숲길은 지날 때마다 꾸었던 꿈속 풍경이다. 그 꿈, 그 상상이 실제로 나타난 지금. 눈앞에 펼쳐진 그 풍경으로 황홀해진다.

일주문(一柱門)을 들어서면 곧바로 펼쳐지는 키 30m의 육중한 전나무 숲길. 한여름이나 한겨울 이 숲에서 하늘 못 보기는 마찬가지다. 어찌나 울창한지 대낮에도 어둡다. 그런데 눈 온 뒤에 가보니 그 숲 속에 눈이 쌓였다. 나풀나풀 가지 피해 살포시 내려앉은 눈이다. 쌓인 눈 두께가 숲 밖이나 진배없다. 하늘 가린 숲에는 눈도 못 내릴 것 같았는데 그 숲이 아무리 우거져도 내리는 눈을 막지 못함이니 세상 순리 그르칠 일은 없음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내변산의 관음봉(해발 433m). 그 아래 기암을 병풍 삼아 선녀 옷자락 걸치듯 살포시 내려앉은 1000년 고찰 내소사. 그 고운 자태 보려고 절을 찾건만 일주문 격인 전나무 숲을 수백m나 걸어 나와도 당우는 보이지 않는다. 기껏 본 것이 서너 계단 높이의 축석 위에 세운 천왕문. 사천왕상의 호위를 받으며 그 문을 통과하니 비로소 내소사 속내가 드러난다.

●사찰 마당엔 천년 넘은 느티나무 손님맞이

당우로 둘러싸인 절 안마당. 키가 20m나 되는 천살배기 느티나무가 손님을 맞는다. 백제 때 창건(633년)됐다니 연륜만큼은 이 절터에 못 미칠 터. 그래도 부안 땅 변산에서 속절없이 흘러버린 천년 세월의 거친 풍파를 아는 이는 이뿐이니 그 유구함과 굳건함에 고개 숙인다.

겨울 끝자락의 내소사. 한낮인데도 적막하리만큼 고요하다. 들리나니 산새 울음과 풍경 소리. 정적만이 감돈다. 어찌나 조용한지 지금 목탁 두드리면 그 소리 변산 바다까지 퍼져나갈 것 같다. 눈 밝은 이는 눈밭에서도 꽃을 본다. 법당문 창호에 핀 꽃살(꽃무늬 문살)이다. 어느 절에서나 볼 수 있는 꽃살문이지만 내소사 대웅보전 것은 좀더 특별하다. 정면 여덟짝 문의 창호가 온통 우아한 꽃무늬 문살로 가득하다.

주봉 의상봉(해발 509m)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악이 칠산 앞바다로 돌출한 지형, 변산. 산과 바다를 두루 갖춘 반도라지만 그 내외(內外)가 분명한 게 또한 변산이다. 산이면 산, 바다면 바다, 서로 양보 못할 진경을 양방이 두루 갖췄음이다. 한여름의 송풍회우(松風檜雨·소나무 가지에 바람 스치는 소리와 전나무 가지에 빗방울 스치는 소리), 한겨울의 동조백화(冬朝白花·겨울 아침 문을 여니 간밤에 내린 눈으로 하얗게 변한 세상을 보게 됨). 이것을 내변산의 제격이라 한다면 사철 다름없던 소사모종(蘇寺暮鐘·낙조 드리운 포구를 향해 만선 깃발 나부끼며 들어오는 황포돛배와 이 즈음 은은히 울려 퍼지는 내소사의 대북 소리가 두루 어울린 풍요로운 바다 풍경)은 외변산의 제격 풍광이다.

내소사 전경

절을 나와 외변산의 바다로 향한다. 반도 땅 끝에서 시작되는 변산 바다. 그 바다 역시 소리가 없다. 너른 개펄이 모두 집어삼킨 듯 무덤덤하고 조용하다. 거친 파도 들락거리는 동해에 비하면 이곳 바다는 호수다.

변산 해안은 산 바다, 내외의 두 변산이 만나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해안선은 부산스럽다 할 만큼 들어가고 나옴이 복잡하다. 그런 해안을 섭렵하는 30번국도. 구불거림이 유려하다. 핸들을 돌릴 때마다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는 바다. 물 나가고 갯벌 드러나니 전혀 다른 바다로 모습이 바뀐다. 수평선 아래 지평선 거느린 특별한 바다. 거대한 제방에 의해 두개로 쪼개진 불쌍한 바다이기도 하다.

●채석강 개발 바람에 절경 훼손

변산반도의 노른자라 할 격포항. 노란 깃발이 방파제에 줄지어 나부낀다. 바다 쪽의 방파제 끝 등대에도 걸려 있다. 위도 방폐장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의 마음이다. 채석강이 그 방파제와 나란히 서 있다. 켜켜이 쌓인 서책더미 모습의 붉은 바위벽. 회백색 콘크리트 구조물과 대비된 부조화는 자연 파괴의 극치다. 채석강 망친 방파제 들어설 때 주민들의 마음은 무슨 색 깃발이었을까.

그 옆 언포마을로 들어선다. 해변에 축석 쌓고 그 위에 소나무 심어 모양낸 모습이 어설프다. 교원을 위한 시설이라고 이름마저 ‘상록해수욕장’이라고 바꿨다. 1년에 한 달밖에 못쓸해수욕장인데도. 오히려 그 옆 궁항의 포구마을(격포리)이 훨씬 정겹다. 파도에 들먹여 뱃머리 부딪는 고깃배가 올망졸망 붙들려 있는 자그만 포구. 그 물가 언덕 아래 옹기종기 모인 지붕 낮은 낡은 집들. 담벼락에 예쁘게 그린 방폐장 반대 구호와 그림도 낯설지 않다.

변산을 떠나며 바람 하나를 갖는다. 정겨운 이 풍경 오래도록 변치 않았으면 하는 소박한 바람이다. 또 하나. 바다와 산의 충돌적인 만남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서로를 포용하는 관용의 자연 변산에서 두루 잘사는 지혜 얻기를, 그래서 찾는 이 누구나 예서 그 미덕 배우면 좋겠다고.

글·사진=조성하기자 summer@donga.com

▼내소사 찾아가는 길▼

● 여행 정보

▽내소사=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조선시대에 지어진 대웅전(보물 제291호)은 전면 여덟 개 문짝 창호가 아름다운 꽃무늬의 꽃살로 구성되어 있다. 사찰 입장시 일주문 입구에서 국립공원 입장료(1660원)과 문화재관람료(1600원)등 3600원을 내야 한다. 063-583-7281

▽찾아가기 △내소사:서해안고속도로∼줄포 나들목∼좌회전∼710번 지방도∼줄포면사무소∼23번국도∼영전주유소∼30번국도∼내소사 삼거리∼마을길∼내소사 주차장. 23번국도 진입후 14km. ‘변산’, ‘내소사’ 이정표만 따라가면 된다. △변산반도 해안드라이브:내소사 삼거리(절 입구)∼삼거리(왼쪽 국도30번)∼3.8km∼모항(바다전망대·노점형 식당)∼2.8km∼언포마을(상록해수욕장)∼30번국도∼삼거리(왼편 마을길)∼2.2km∼궁항마을(포구)∼1km∼30번국도∼4km∼마포삼거리(부안 행)∼3km∼지서삼거리∼5km∼새만금 전시관∼1km∼변산교(왼편은 변산온천 가는 길)∼5.6km∼등용삼거리(계화로 가는 705번 지방도 갈림길)∼16.7km∼부안 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 고속도로(15번) △거리:①금천∼줄포:245.8km. ②부안∼금천=229.6km. △교통상황안내(ARS):1588-250. 서해안선 안내는 ‘4’번.

▽변산반도 국립공원 관리공단 △관리사무소:063-584-8186 △내소사 분소:063-583-2443

▽전망 좋은 바닷가 숙소=모항 부근의 해변도로 언덕 위에 두 곳이 있다. △전망좋은 방(모텔):모항의 도로변 전망대 언덕의 노점형 식당 아래 바다로 향한 절벽 쪽에 있다. 모두 오션뷰 객실로 4만원부터. 063-582-8771 △선비치랜드(www.sun-rich.co.kr):모항의 전망대 언덕에서 노점형 식당 반대편 산 언덕위에 위치한 리조트 형 숙소. 커피숍 식당(한식 양식)을 갖춘 건물 앞에 넓은 잔디밭이 있고 석양을 감상하는 낙조관람대를 갖춘 분위기 있는 숙소다. 063-584-8030, 1

● 여행상품

내소사와 채석강 등 내외변산의 진풍경을 보고 계화도에서 활어 회를 맛보는 당일 투어. 21, 22, 24일 서울 출발, 4만2000원. 승우여행사(www.swtour.co.kr) 02-720-8311

● 맛 집

육지로 변한 지 40년 된 계화도(부안군 계화면) 어민 김철수씨(48)의 현대수산횟집(계화리). 푸짐하기로 소문난 이 식당의 횟감은 새만금 사업이 끝나면 역시 육지로 변할 운명의 신시도 바다에서 김씨가 직접 잡아온 자연산이 주종. 봄에는 우럭과 놀래미, 한여름에는 부서리와 갯장어, 가을에는 대하와 전어, 겨울에는 우럭 농어…. 양식우럭은 자연산이 부족할 때만 쓴다고 했다. 3만 원짜리(中) 한 접시면 네 명이 먹을 만하다. 조개탕은 덤. 연중무휴(오전 11시∼오후 9시), 063-583-1895

찾아가기:서해안고속도로∼부안 나들목∼30번국도∼부안읍∼등용삼거리(등용미곡종합처리장)∼705번 지방도(계화 돈지 행)∼4km∼삼거리∼왼쪽 길∼계화 제2방조제∼계화리.

부안=조성하기자 summ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