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베이징(北京)에서 개막되는 제2차 6자회담은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 틀’이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 것인지를 판가름하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많다.
특히 워싱턴의 강경파들은 이번 6자회담을 주시하고 있다.
미 협상진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는 가운데 이들은 6자회담 결과가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해 말 2차 6자회담이 무산된 직후 워싱턴의 미 행정부 고위관계자는 6자회담의 ‘미래’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1월이든 2월이든 회담은 반드시 열린다. 그러나 지속 여부는 북한이 핵 폐기에 대한 실질적 진전을 보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는 “한두 번 회담을 더 해보면 (6자회담 지속 여부를) 알게 될 것”이라며 “때로는 북한과 아예 대화를 하지 않는 것이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같은 미 행정부나 워싱턴 한반도 전문가들의 시각은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닉 에버스타트 미 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22일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6자회담은 실패로 돌아간 1930년대 유럽의 ‘회담 외교’를 연상시킨다”며 “이번 회담에 응하는 미국의 목표는 북한이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지만 않게 하는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이 회담장에 나오도록 하기 위해 중국이 5000만달러, 러시아가 1000만달러 상당을 지원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모턴 아브라모위츠 센트리재단 소장 겸 수석연구원은 “다자 접근 방식에 대해 항상 의구심을 가져왔다”면서 “북한이 원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나머지 5개국은 각각 입장이 달라 어떤 결정을 언제 어떻게 내리느냐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는 고농축우라늄(HEU) 핵 프로그램 존재 여부를 둘러싼 북한과 미국의 충돌 조짐까지 거론되고 있어 1차회담 때보다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21일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북한이 HEU를 시인한 사실이 역사에 기록돼 있는데 우리가 어떻게 눈을 다른 데로 돌릴 수 있느냐”며 북한의 입장에 강한 이의를 제기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조지 W 부시 대통령을 비롯한 미 행정부 인사들이 북한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여러 차례 공언한데다 11월 미국의 대선을 고려한다면 6자회담이라는 ‘다자 틀’ 자체가 와해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정안기자 cred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