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新아크로폴리스]6·25전쟁은 이미 끝난 것인가

입력 | 2004-02-25 18:01:00

국제정치나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줄곧 조명돼온 6·25전쟁. 그러나 이 전쟁의 현재적 의미에 대해 토론한 참석자들은 “이데올로기 대립 이면에 전쟁을 겪어야 했던 사람들의 아픔이 있었다는 사실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왼쪽부터 심경민, 박태균, 윤지상, 강제규씨. -강병기기자


《6·25전쟁이 일어난 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비극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 전쟁으로 인해 남북간의 적대감은 깊어졌고 이산가족의 아픔 역시 치유되지 않고 있다. 최근 6·25전쟁을 다룬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가 21일까지 6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끌어 ‘최단기간 최다관객 관람’ 등 신기록 행진을 계속하며 이 전쟁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한국현대사를 전공한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37)가 이 영화를 만든 강제규 감독(43)을 서울 서초구 양재동 강 감독 사무실에서 만났다. 윤지상(21·고려대 입학 예정), 심경민씨(21·이화여대 불문과 1학년)도 이날 함께 만나 전쟁의 의미를 되짚었다.》

# 수업시간에 안 배우는 6·25전쟁

▽박태균 교수=6·25전쟁은 우리 역사뿐 아니라 세계사에서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중요한 사건을 역사로 서술할 때는 ‘전쟁’이란 사건의 진행만 중시됐지 그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는 간과돼 왔어요. 그런데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보니 ‘6·25전쟁’이란 거대한 사건보다 그 속에서 고통을 겪은 ‘사람’에 초점이 맞춰져 있더군요.

▽강제규 감독=2001년부터 6·25전쟁에 대한 영화를 만들려고 준비하면서 1년 동안 자료도 많이 보고 전문가들도 많이 만났어요. 100편의 영화로 만들어도 모자라겠더군요. 자료를 보면서 굉장히 많이 울었죠. 게다가 설문조사를 해 보니 초등학생, 중학생들은 상당수가 6·25전쟁이 언제 일어났으며 누구와 누구의 싸움이었는지조차 모르고 있더군요. 그래서 영화를 많이 보는 10대, 20대를 위해 아주 단순한 것만 전해주자고 생각했어요. ‘우리 할아버지 때 전쟁이 있었고 그 아픔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는 것만 알려줄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입니다.

▽윤지상=중고등학교 때 교과서로 배운 6·25전쟁에 관한 사실은 ‘1950년 6월 25일에 북한이 남침했다’는 것뿐이었어요. 전쟁 과정에서 누가 아파하고 어떻게 고통당했는지 그런 것은 몰랐어요. 그런데 ‘태극기 휘날리며’를 보니까 이 전쟁에선 이긴 사람도 진 사람도 없이 우리 민족 모두가 아파했더군요. 영화를 보고 난 후 현대사에도 관심을 갖게 됐어요.

▽심경민=부모님도 6·25전쟁 이후에 태어나신 분들이라 전쟁에 대해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거의 없었죠. 역사교과서에도 6·25전쟁 이후 현대사에 대한 부분은 10쪽 정도밖에 서술이 안 돼 있어요. 그것조차도 시험에 안 나온다며 수업시간에는 건너뛰기 일쑤죠. 그런데 이 영화를 보면서 ‘그렇게 볼 게 아니었구나’, ‘몇몇 지도자들의 이데올로기 싸움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했구나’ 하고 생각을 하게 됐어요.

# 우리 교실에 북한아이들이 있다면?

▽박=영화에서 보여주는 상황은 전쟁터였지만, 전쟁 동안 전선에 있지 않던 일반민들의 생활에도 엄청난 변화가 있었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임시토지수득세의 실시, 통화개혁 등은 후방에서 전개되고 있던 총성 없는 또 하나의 전쟁이었죠. 지금까지의 연구는 이런 부분보다는 ‘누가 먼저 전쟁을 시작했느냐’에만 관심을 두었어요.

강 감독이 이 영화에서 던지는 또 다른 메시지는 ‘전쟁은 지금도 계속된다’가 아니었나 생각해요. ‘끝나지 않은 전쟁’을 이야기함으로써 그런 전쟁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을 호소하려 한 것이겠지요. 제가 6·25전쟁에 관해 강의할 때 중시하는 것도 포로문제나 정전(停戰)협정 등 현재까지도 한국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건들입니다.

▽강=분단이 되긴 했지만 그래도 한 민족이고 같은 핏줄이라는 것, 결국 함께 가야 한다는 사실을 얘기하고 싶었어요. 이런 의식을 총칭하는 것이 ‘형제애’라고 생각했지요. 통일을 하려면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위로하면서 화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심=사실 저나 제 친구들이나 ‘통일은 우리 죽은 뒤에나 했으면 좋겠다’고들 생각해요. 한 교실에 북한 아이들이 있다고 생각하면 머리가 아주 복잡해지죠. 언젠가 통일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막연히 시간이 흐르면 언젠가 통일되겠지 생각해요. 통일이 왜 돼야 하는지, 언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 안 해요.

▽윤=저희 세대는 통일이라는 것을 너무 드라마틱하게 생각하는 듯해요. 이산가족이 만나 부둥켜안고 울고 하는 것으로만 생각한다는 거죠. 전쟁을 했으니 화해를 하긴 해야겠지만, 통일은 지금 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이 알아서 하겠지 라고 생각하면서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아요.

▽강=사실상 광복 후에 좌우로 나뉘어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했던 기간은 한국현대사에서 얼마 되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독립을 위해 민족의식을 고양시키며 함께 싸우던 기간이 훨씬 더 길었지요. 그래서 일반인들에게 6·25전쟁은 ‘적’의 개념이 매우 미미한 전쟁이었어요. 그때에 비하면 북한을 적으로 여기는 의식은 현재 우리들 안에 훨씬 강하게 자리 잡고 있죠. 전쟁 3년을 겪으며 그들을 ‘나쁜 놈’이라고 단정한 뒤 그런 관념이 한국사회 내부에서 강화돼 온 거죠.

▽박=이데올로기는 인간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수단이 목적이 되어 전쟁을 일으켰다는 것은 어떠한 이유로도 합리화될 수 없습니다. 6·25전쟁이 주는 궁극적인 메시지는 ‘평화’입니다. 이런 전쟁을 다시 겪지 않기 위해서라도 분단체제, 휴전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정리=김형찬기자 khc@donga.com

▼6·25전쟁에 관한 책들▼

○역사 앞에서(김성칠)

한 지식인의 눈으로 바라본 전쟁의 모습. 저자는 전쟁 당시 서울대 학생으로 인민군 점령 치하 서울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일기를 통해 생생하게 기록.

○돌아온 패자(박진홍)

국군으로 전쟁에 참여해 북한군의 포로가 됐던 필자가 북한군들이 포로를 어떻게 다뤘고, 이 과정에서 왜 일부 포로들이 인민군이 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증언.

○전쟁과 사회(김동춘)

전쟁 기간에 만들어졌던 또 다른 전선(戰線)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서. 전선의 후방에서 국가권력에 의해 많은 민간인이 희생당한 사건들을 통해 6·25전쟁에 접근.

○태백산맥 1∼10(조정래)

소설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사실적인 증언. 1945년부터 휴전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한 마을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묘사.

○한국전쟁의 기원 1, 2(브루스 커밍스)

6·25전쟁이 1950년 6월 25일 당일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1945년 이후 계속돼 온 좌우간의 대립에 의해 일어난 전쟁이었다고 해석. 수정주의적 연구경향을 대표하는 책.

○한국전쟁 상, 하(미국합동참모본부)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공식 역사서로 6·25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입장에서 전쟁을 정리. 6·25전쟁 당시의 전략 파악 가능.

▼참석자▼

▽박태균(37)=서울대 국제대학원교수·한국현대사

▽강제규(43)=영화감독

▽윤지상(21)고려대 입학예정

▽심경민(21)=이화여대 불문과 1학년

▼다음주의 '新아크로폴리스'는▼

▽주제=1980년대 민주화운동과 시민사회의 출현

▽강사=조대엽 고려대 교수(사회학)

※서강대 국제문화교육원에서 진행중인 공개강좌는 안민포럼(www.thinknet.or.kr)으로 문의 바랍니다. 02-743-1786~8

※동아닷컴(www.donga.com) '新아크로폴리스'코너에서 1월 일자부터 지금까지 매주 게재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