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창기의 눈높이 육아]게임중독증은 우울증의 변형

입력 | 2004-03-07 17:33:00


창백한 얼굴에 ‘나는 행복하지 않아요!’라고 항변하는 공허한 눈빛을 가진 아이가 병원으로 끌려왔다. 게임중독자 현이는 이제 겨우 초등학교 4학년이다.

이런 경우는 언제나 그러하듯 현이 역시 엄마 아빠와 감정의 교류 없이 성장했다. 부모는 해 줄 것은 다 해주었지만 부모와 함께 하는 것이 행복하다는 경험을 주지 못했다. 사람으로부터의 기쁨에 목말라 지친 현이는 그 기쁨을 기계에서 얻기 시작했다.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원할 때면 언제나 기쁨을 주는, 적어도 배신은 하지 않는 기계에게서. 현이의 중독증은 어린이 우울증의 변형이었다.

사람의 유전자에는 다른 사람과 함께 할 때 느끼는 기쁨이 가장 만족스러운 것이라고 새겨져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서 기쁨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대용품이 필요하고, 컴퓨터가 인간에 가장 가까운 대용품이 되곤 한다. 아이들은 다른 이유에서도 게임에 빠져든다. 공부는 못해도 게임은 잘하는 아이는 어른들에게는 무시당하지만 또래로부터는 영웅 대접을 받는다. 열등감에 절어있던 아이가 한번 그 맛을 들이면 마치 고행의 길을 떠난 수도승처럼 어려움을 견디며 게임을 연습한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게임에 미친다. 공부를 하라면 꼼지락거리며 딴 짓만 하다가, 번쩍거리는 컴퓨터 앞에서는 몇 시간을 꼼짝 않고 버틸 수 있다.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강한 자극이 계속되어야 집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임을 너무 많이 할 때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게임을 완전히 못 하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중독증의 치료 원칙이다. 그러나 엄마에게 대항할 힘이 생긴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생 이상 청소년들은 금단증상 때문에 어떻게든 게임을 하려 집에 늦게 들어오고, PC방에 가기 위해 돈을 훔치거나 거짓말을 하고, 심지어 부모와 난투극을 벌이기도 한다. 그런 상황이라면 협상을 해야 한다. 아이가 서서히 게임을 줄여가게 도와줘야 하는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기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고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부모가 감독할 수 없는 시간에 아이가 게임을 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개에게 뼈를 주고 빨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다. 정 안되면 타이머 장치를 장착하거나 정해진 시간 이외에는 모니터를 장 속에 넣고 잠가야 한다. 게임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폭력적인 게임을 비폭력적인 게임으로 바꾸게 하고, 게임하는 시간과 정보를 검색하는 시간을 5 대 5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 역시 무척 어려운 일이다.

결국 아이가 게임에서 얻는 기쁨을 현실에서 찾고, 부모의 말을 따르게 하려면 아이가 부모의 사랑을 느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인간인 부모와 친해져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사람들과 함께 부대끼는 것이 즐거울 때 가상의 세계의 즐거움을 버린다. 또 부모의 사랑을 확인했을 때 부모를 만족시켜주고 싶어 한다.

소아신경정신과 전문의·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