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한에서 열리는 국제학술회의에 고구려가 우리 민족의 역사라는 취지의 논문을 보내 왔다. 그동안 북한학자들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 공식적 대응을 자제해 왔으나 이번에 적극적으로 주장을 펼쳤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북한 사회과학연구원 역사연구소 조희승 고대사 실장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공동대책위원회’(공동대표 최광식, 한규철) 주최로 26, 27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국제학술회의에 ‘고구려는 조선의 자주적인 주권국가’라는 제목의 발제문을 보내 왔다. 조 실장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등 국내 역사자료 △중국사서(‘삼국지’ ‘송사’ ‘고려도경’)와 일본사서(‘고사기’ ‘일본서기’) 등 외국자료 △돌무덤과 산성 중심의 방어전 등 고고학적 증거 △언어와 의복 풍습 등 문화적 공통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 발제문에서 조 실장은 고려가 평양 숭인전과 숭령전에서 단군과 함께 고주몽에 대한 제사를 지냈고,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 왕의 능을 별도로 관리해 왔음을 강조했다. 또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고구려의 옛 장수 호경의 후손으로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과 같은 귀족가문 출신이라는 주장도 펼쳤다.
외국사서 중에선 송나라의 서긍이 편찬한 ‘고려도경’ 중 ‘건국기’를 인용한 점이 눈에 띈다. 이 책에선 고조선부터 발해에 이르는 고려시대 조상들의 역사를 기술하면서 백제와 신라는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은 대신 고구려 역사를 가장 많이 다뤘다.
이어 조 실장은 “동방에서 산성을 쌓고 싸우는 것은 유독 우리 조선만의 전투방식”이라고 밝혔다. 일본에도 산성은 있었지만 ‘조선식 산성’이라고 이름 붙일 정도로 산성전투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투방식이었다는 설명이다.
조 실장의 논문은 중국에서 ‘동북공정’을 주도하고 있는 쑨진지(孫進己) 선양(瀋陽) 동아중심 연구주임의 논문과 나란히 발표된다. 쑨 주임은 당초 이번 학술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갑작스럽게 불참의사를 통보했다.
최광식 대표는 “북한과 중국학자가 고구려 역사를 두고 지면상으로나마 논쟁을 벌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한의 공동대처에 있어서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권재현기자 confett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