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을 졸업하고 정치를 직업으로 하는 40대 남성.’
4·15총선에 나설 후보자들의 대표적 유형이다. 본보가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모종린(牟鍾璘) 교수팀과 공동으로 주요 4개 정당의 후보군 754명(24일 현재)을 분석한 결과 17대 국회 역시 인적 구성 패턴에서 16대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세대교체 흐름 속 남성 우위 여전=여성후보는 4년 전 16대 총선 당시 3.2%에서 이번에는 4.5%로 다소 증가했다. 그러나 여성계는 당초 지역구 후보 30% 이상의 여성 공천을 요구했던 점을 감안할 때 각 당과 여성후보들은 아직 유권자로부터 직접 심판받기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민주당의 영입인사로서 비례대표 상위순번을 마다하고 서울 성북을 지역구 도전을 자청한 손봉숙(孫鳳淑) 여성정치연구소이사장 같은 예외도 없지 않다. 하지만 강북권의 지역구 출마를 수차례 요청받고도 정책개발 전념을 내세우며 이를 고사한 김강자(金康子) 전 총경 같은 사례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후보군의 연령별 흐름을 16대 총선 당시와 비교하면 ‘40대 증가, 60대 감소’현상이 뚜렷했다. 16대 때는 20대가 전무한 데 이어 30대 9.6%, 40대 27.6%에 불과했던 반면 이번에는 30, 40대가 각각 8.4%와 36.7%를 차지했다. 평균 연령도 16대 52.6세에서 17대 51.2세로 다소 낮아졌다.
이런 경향은 인구 대표성을 제고시킨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 경륜과 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정치적 사회적 통합기능의 약화를 초래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정당별 후보들의 연령은 한나라당의 경우 30대 후보자가 4당 평균보다 적고, 60대 후보자가 평균보다 많았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30, 40대 후보자가 평균보다 높고 60대 후보자가 평균보다 적다. 자민련은 30, 40대 후보자가 매우 적고 60대 후보자가 평균보다 매우 많아 보수성을 입증해 보이기도 했다.
▽직업정치인과 대졸 우선=직업별로는 국회의원 민선자치단체장 정당인 등 직업정치인이 각 당 평균 40.5%로 가장 많았고 법조인 출신이 평균 15.6%로 그 뒤를 이었다. 직업정치인은 지역구의 조직 활동에서, 법조인 출신은 낙선시 변호사로의 ‘복귀’가 용이하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자민련은 ‘전략지역’인 충청권 출마자 대다수가 전현직 국회의원, 기초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 지구당위원장이어서 총선 쟁점과 관계없이 지역표 의존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들의 학력은 대졸 이상이 91.0%를 차지하는 반면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후보자는 9.0%에 그치고 있다.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후보자도 무려 42.8%에 달해 학력 인플레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과 자민련이 고졸 출신 후보자가 평균보다 많고,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의 경우 평균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린우리당의 경우 대졸 이상의 후보자가 무려 98.2%를 차지한 ‘고학력 정당’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고학력 편중의 후보 분포는 자칫 인구대표성에서 문제를 낳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표집필=김석우 서울시립대교수
정리=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정당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전체한나라당0.06.635.933.524.10.0100.0민주당0.010.035.635.618.30.6100.0열린우리당0.011.842.733.611.80.0100.0자민련1.91.927.931.734.61.9100.0전체0.38.436.733.820.40.4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