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발언대]김정은/도시의 간판, 시민이 주인이다

입력 | 2004-04-28 19:13:00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널드의 간판은 빨간색으로 유명하다. 어느 나라를 가든지 빨간색 바탕에 노란색 ‘M’자를 볼 수 있다. 그런 맥도널드도 프랑스 파리 시내의 한 점포에서는 특이하게도 흰색 바탕의 간판을 내걸고 있다. 간판이 거리 풍경이나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신경 쓰는 프랑스 사람들의 미적 감각을 존중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파리 얘기를 꺼낸 것은 선진국이 이러니 우리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간판이 사유물에 속한다 하더라도 ‘거리의 얼굴’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불가피하게 공공성을 띨 수밖에 없다는 점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 거리를 보자. 현란한 색상의 간판들을 쳐다보면 어지럽기까지 하다. 건물을 뒤덮는 전면 간판과 옆으로 튀어나온 돌출 간판으로도 모자라 불법 스탠드 간판들이 시민의 보행을 불편하게 만든다.

얼마 전 잠실 거리를 지날 때는 색다른 경험을 했다. 어지러운 간판 숲 사이에서 갑자기 시원스럽게 정리된 간판이 시야에 들어왔다. 색상은 물론 고딕체로 글씨체까지 통일된 간판이었다. 그러나 이 또한 부족함이 있었다. 미적 감각과 개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이다. 강요된 통제감이라고나 할까.

간판을 어떻게 정비하고 규제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규격화해서 통일하자는 의견도, 있는 그대로의 간판 문화를 존중하자는 의견도 있다. 혹은 서울의 인사동처럼 거리 특성에 간판을 맞춰 달자는 주장도 있다.

중요한 건 간판을 업주의 홍보수단으로만 생각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그 앞을 지나는 다중을 배려해야 한다. 디자인과 공공성을 상실한 간판은 소비자들에게 시각적 공해일 뿐이다. 똑같은 품질의 제품이라도 아름답고 알아보기 쉽게 포장된 상품을 선호하는 게 소비자 심리다. 간판도 예외는 아니다.

김정은 외국계 기업 근무·서울 강남구 삼성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