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반세기 전엔…]동아일보로 본 9월 셋째주

입력 | 2004-09-12 19:09:00

1972년 3월 ‘전국 일제 쥐잡기’를 독려하는 포스터. 동아일보 자료사진


鼠族 撲滅운동 전개…保健部 등 五개 부처 회의서 결정

《예년에 보지 못하던 번식을 보이고 있는 쥐를 어떻게 하면 박멸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방법으로 하면 서족 번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보건, 내무, 농림, 문교, 국방부 등 五개 부처에서는 十四일 하오 一시부터 보건부에 회합하여 그 대책을 강구하였다. 현재 한국에는 쥐가 인구 一인당 네 마리(四匹)의 비율로 번식하고 있다는데 보통 세계 공통적 통계로 따진다면 인구 一인당 두 마리인 것이다. 이와 같이 번식하고 있는 서족들은 국민보건상으로나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함에 비추어 이날 회의에서는 ‘서족 박멸 국민운동’을 전개하기로 하였다고 하는데 그 방법으로서는 국민 반을 통하여 일인 한 마리 쥐를 잡는 한편 학교 학생들은 쥐잡이 계몽 선전에 참가하기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1970년대까지 쥐잡기는 중요한 국가사업이었다. 매년 봄 가을 쥐잡기 철이 되면 초중고교 학생들은 쥐잡기 포스터를 그리고, 잡은 쥐의 꼬리를 학교에 가져가 구서(驅鼠) 실적을 검사받아야 했다.

범정부 차원의 쥐잡기 운동이 시작된 것은 위 기사에서처럼 1954년의 일이지만, 이를 체계화한 것은 박정희 정권이다. 통(統) 반(班) 등 행정조직을 통해 집집마다 쥐약을 나눠주고 전국적으로 일시에 놓도록 했다. 동네 곳곳에 ‘쥐는 살찌고 사람은 굶는다’ ‘한 집에 한 마리만 잡아도 수만 명이 먹고 산다’는 등의 구호가 요란스럽게 나붙었다.

한때 농림부에서 이 운동을 주도했던 전순표씨는 “60년대 초까지도 전국 창고에서 쥐가 먹어치우는 쌀이 연간 300만 섬(1년 생산량의 10%)이나 돼 쥐잡기는 식량 확보와 직결된 절실한 과제였다”고 말했다. 강력한 정책의 효과는 금세 나타났다. 그렇게 수집한 쥐의 털로 한때 이른바 ‘코리안 밍크’를 만들어 외국에 수출했을 정도이니….

우리나라에는 지금도 1인당 4마리 정도의 쥐가 서식하고, 연간 약 300만 섬의 양곡 손실을 끼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쥐잡기 운동은 동원 방식에서 자율 형태로 순화됐다. 일선 보건소가 1년에 두 차례 ‘쥐잡기 강조기간’을 정해 필요한 가정에 쥐약을 나눠주는 정도다.

다만, 과거 쥐약은 맹독을 쓰는 바람에 다른 동물이 2차 중독되는 등 부작용이 있었지만, 요즘은 쥐에만 선별적으로 작용하는 약이 개발됐다니 ‘쥐잡기의 현대화’라고 해야 할까. 그런데 도대체 쥐는 왜 줄어들지 않는 걸까.

윤승모기자 ysm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