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구려역사 바로 알리기… 교총-전교조 한마음 수업

입력 | 2004-09-21 18:17:00

“고구려 벽화와 비슷하죠?”2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초등학교에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공동주최로 열린 ‘고구려사 바로알기 특별수업’에서 학생들이 고구려 고분 벽화를 도화지에 그려보고 있다. 최혁중기자


“아름다운 이 땅에 금수강산에/단군 할아버지가 터 잡으시고….”

21일 오전 서울 한남초등학교 6학년3반. 3교시 사회시간이 시작되자 아이들의 노랫소리가 울려 퍼졌다.

김봉석 담임교사는 “여러분이 부른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에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도 들어 있다”며 “최근 중국의 역사 왜곡으로 외교적 마찰을 빚은 고구려의 역사에 대해 배워보자”고 제안했다.

이날 수업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20∼25일 진행하는 ‘고구려사 바로알기 수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교재는 교총이 마련한 고구려의 고분벽화.

김 교사는 “벽화에는 당시의 생활 모습과 문화가 담겨 있어 어느 나라가 더 고구려의 풍습을 이어 받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첫 번째 ‘증거’는 ‘장천 1호분’의 씨름. 김 교사는 “고구려에서도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의 ‘씨름’, 그리고 현재의 씨름과 유사한 경기를 했다”고 말했다.

‘쌍용총의 치마 인물도’에서는 고구려의 의상이 현재의 한복과 닮았다는 점, ‘안악 3호분’에서는 떡시루와 온돌 등을 통해 생활 풍습이 같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교사는 “벽화를 보면 고구려의 의식주 문화가 우리의 것과 비슷하다”며 “고구려 문화는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가 계승했다”고 말했다.

김다솜양(12)은 “고구려가 진짜 우리의 조상인지 혼란스러웠지만 이젠 확실히 알게 됐다”고 말했고 최유나양(12)은 “고구려사 알리기에 누구보다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1년 전 한국으로 유학 온 몽골의 나산 바트군(13)도 “고국에 돌아가면 고구려가 한국의 선조라고 이야기하겠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수업이 끝날 무렵 ‘고구려인에게 편지쓰기’에서 ‘고구려인이 용맹스러운 걸 알았다’ ‘고구려사에 대해 무지했던 게 부끄럽다’고 쓴 학생도 있었다.

김 교사는 학생들이 배타적인 애국주의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당부의 말로 수업을 마쳤다.

“중국이 고구려사를 왜곡했더라도 중국을 나쁜 나라로 생각해선 안 됩니다. 갈등은 있지만 21세기를 함께 살아갈 ‘친구 나라’라는 것을 잊지 마세요.”

이나연기자 laros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