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마이홈]“20년간 32번 이사”…류제천사장의 ‘명품아파트’論

입력 | 2004-11-24 16:06:00

류제천 사장이 아파트를 고를 때면 늘 휴대하는 ‘도면’을 들고 자택인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아파트 옥상에 올라갔다. 46층 높이라 뒤로 잠실종합운동장과 한강 등이 내려다보인다.-권주훈기자


“대학졸업 후인 1985년부터 지금까지 32번이나 ‘좋은 집’을 찾아다녔습니다. ‘두 집 살림’도 꽤 했었죠.”

결혼정보회사 ‘닥스클럽’의 류제천 사장은 다양한 집을 경험한 뒤 이제서야 ‘좋은 집’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알 것 같다고 말한다.

동시에 여러 집을 옮겨 다니며 거주한 적도 많아, 관리비만 한 달에 200만원이 넘게 나온 적도 있을 정도. 가족들은 동의했을까. 또 아무리 집이 좋다지만 이사 자체가 부담스럽지는 않았을까.

“여태껏 영업비밀이었는데…, 전 독신이거든요. ‘집’과 결혼한 셈입니다. 사람과 달리 맘에 안 들면 언제든 바꿔도 되고…(웃음). 소파하고 침대 빼면 큰 짐은 없는 편이라 이사하기 그렇게 힘들지는 않아요.”

홍익대 건축학과를 졸업한 류 사장은 첫 직장인 현대건설에서 7년간 일했다.

“이후 프리랜서 건축사로 활동하며 실무 경험을 쌓기도 했고, ‘미국의 좋은 집’을 체험해 보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에서 20만달러짜리 집을 1년간 빌려 생활한 적도 있습니다. 지인들에게 부동산 관련 컨설팅을 해주기도 했죠.”

그는 보통 6개월∼1년짜리 월세를 다니며 새 아파트를 ‘쇼핑’했고, 다른 집에 살다가도 맘에 드는 새 아파트가 나타나면 재산을 몽땅 털어 사거나 빌렸다고 한다.

류 사장이 이처럼 여러 집을 전전한 것은 전공이 건축학도인 데다 집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취미 때문.

현재 그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와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아파트에 살림을 펼쳐 놓고, 양쪽을 오가며 살고 있다. 최근 5년 동안만 도곡동 타워팰리스, 이촌동 동부센트레빌과 한가람, 목동 2단지, 잠원동 킴스빌리지, 압구정동 현대, 용인 수지지구 성원아파트 등을 두루 거쳤다.

그의 말을 통해 ‘좋은 집의 조건’과 ‘선택 요령’을 알아본다.

▽‘조망’에 대한 고민은 많이 할수록 좋다=예를 들면 한강은 무조건 ‘화끈하게’ 보이는 게 최고가 아니다. 한강변 바로 앞 고층에서 직접 살아보면 물 위에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느껴져 가끔씩 우울해지기도 한다. 차라리 조금 저층이라도 강변과 육지(둔치)가 골고루 보이는 게 정신건강에 좋은 것 같다. 야경이 아름다운 한강다리나 조그만 섬처럼 ‘볼거리’가 있다면 금상첨화.

입주가 임박한 아파트에서 조망권이 좋은 곳을 고르려면 ‘입주자 사전점검’ 한달 전쯤 현장을 찾아가는 게 제일 좋다. 가능한 한 많은 가구를 찾아가 얼마나 많은 것이 보이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게 최상의 방법. ▽‘주상복합’, ‘고급마감재’일수록 신중해야=어떤 주상복합에 살아보면 주차장을 이용하기 위해 매일 지하 4∼5층까지 ‘뺑뺑이’를 돌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 발코니가 없는 ‘커튼 월’ 방식에서는 서로 건너편 집 안이 훤히 들여다보여 난감해질 때도 있다.

‘강제 통풍’을 시키긴 하지만 역시 필요한 때 부는 자연통풍만큼은 못하다는 생각이다. 유아방, 커뮤니티룸, 독서실 등 복지시설도 단순히 시설이 있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느냐가 문제다. ‘고급마감재’도 마치 신형 휴대전화처럼, 정작 시세에 영향을 미치고 본인의 주거만족도를 높여주는 ‘유효기간’은 기껏해야 초반 3년 정도라는 점을 알아두자.

▽기본에 충실하고 틈새를 살피자=실수요든 투자든 ‘1000가구 이상 대단지, 남향, 네모반듯한 설계, 역세권, 대표 평형’이 기본이다. 대표 평형은 한 단지 내에 가장 많은 평형을 의미한다. ‘1000가구 이상’을 꼽은 것은 유치원, 학교뿐 아니라 약국 병원 등 의무시설이 단지에 들어올 확률이 많기 때문.

요즘엔 ‘자기 만족’ 때문인지 이런 입지조건 대신 ‘동네’ 만 너무 의식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실제 계산해보면 처음 투자금에 비해 시세 상승률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다.

주차장 못지않게 엘리베이터도 많이 신경써야 할 요소. 27층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하나 밖에 없는 아파트도 살아봤다. 아침에 남들보다 5∼6분씩 늦어지는 게 얼마나 짜증이 나는지, 또 그 역시 시세에 상당히 큰 부분으로 반영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좋은 집’ 기준도 변한다=최근엔 무조건 고층으로 갈수록 시세가 높지만 이는 ‘반짝 트렌드’로 끝날지도 모른다. 실제 30층 이상에서 살면서 불안감이나 어지럼증을 느낀 적도 있다.

앞으로는 ‘앞에 높은 건물이 없어 햇볕이 거침없이 들어오는지’, ‘조경시설에 나무뿐 아니라 화려한 꽃이 많이 심어져 있는지’처럼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의미있는 참살이(웰빙) 인프라’의 가치가 아파트 값을 매기는 중요한 척도로 자리잡을 수도 있다.

조인직기자 cij19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