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Go!주말시대]코냑의 나라 ‘아르메니아’

입력 | 2004-12-09 16:23:00

수도 예레반 중심가 공화국 광장의 행인들(위)과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의 방문을 기념한 옐친 코냑통.


《카프카스(코카서스) 지역에 있는 아르메니아는 ‘코냑의 나라’다. 코냑의 본고장은 물론 프랑스지만 코냑에 대한 아르메니아인들의 자부심도 대단했다. “1991년에야 옛 소련에서 독립하는 바람에 외부에 아르메니아 코냑이 ‘덜 알려졌을’ 뿐”이라는 것이다. 2차 대전이 막바지이던 1945년, 흑해 연안에 있는 옛 소련의 유명한 휴양지 얄타에 연합국 정상들이 모였을 때다. 영국의 윈스턴 처칠 총리가 아르메니아 코냑을 맛보고 반하자 당시 소련 지도자 스탈린이“매일 마시라”며 365병을 선물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

○물-공기-기후 천혜의 조건

“명품 코냑이 나오려면 좋은 포도와 물, 오크(떡갈나무)의 3박자가 맞아야 합니다.”

수도 예레반에 있는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아라라트 코냑 공장. 에밀 사피란 대외담당 이사는 “아르메니아는 강한 햇볕을 받고 자란 좋은 포도와 영산(靈山)인 아라라트 산(5185m)에서 흘러나오는 천연수, 코냑을 숙성시킬 오크통을 만들 나무를 모두 갖추고 있다”고 자랑했다.


아르메니아를 상징하는 영산 아라라트 산의 신비스러운 모습(왼쪽). 성서에는 ‘노아의 방주’가 이 산에 도착했다고 돼 있고 이곳이 ‘에덴동산’이었다는 전설이 있다. 축구팀과 코냑 등 아르메니아를 대표하는 모든 것에는 아라라트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아르메니아, 아니 카프카스의 자연조건은 ‘지상의 마지막 낙원’이라고 부를 만하다.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에 카프카스 산맥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이 지역은 물과 공기, 기후가 좋아 세계적인 장수촌으로 유명하다. 미당 서정주(未堂 徐廷柱) 시인이 생전에 이곳에서 노년을 보내겠다며 러시아어를 배우기도 했을 정도. 일조량도 포도재배에 딱 알맞게 풍부하다.

코냑은 원래 프랑스 코냑지방에서 생산되는 브랜디를 일컫는 말이지만 아르메니아에서는 ‘브랜디’보다는 ‘코냑’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 나라에서 코냑을 본격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1887년경. 그것은 ‘고단한 역사’와 관련이 있다.

아르메니아는 1700여 년 전 세계 처음으로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을 정도로 일찌감치 문명에 눈뜬 나라다. 그러나 끊임없이 외세의 침략에 시달렸고 오랫동안 터키의 지배를 받았다. 수난의 역사 속에서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외국으로 떠났다. 지금 본국 인구는 320만 명이지만 해외의 아르메니아 이민자는 800만 명이 넘는다. 이들 중 프랑스로 건너간 이민자에 의해 코냑과 제조법이 들어왔다.

○분쟁해결 염원 담은 ‘평화의 코냑’

대표적인 코냑 브랜드인 아라라트는 이 나라를 상징하는 산이다. 이곳이 성서에 나오는 ‘에덴동산’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도 홍수가 끝난 뒤 아라라트 산봉우리에 닿았다고 기록돼 있다.

그러나 아라라트의 대부분 지역은 현재 터키 영내에 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언젠가는 이 산을 되찾을 것이라는 희망을 담아 코냑을 ‘타임캡슐’처럼 이 산에 묻었다고 한다. 멀리 보이는 아라라트는 1년 내내 눈과 얼음 속에 파묻혀 있지만 아르메니아 평지는 겨울에도 웬만해선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따뜻한 날씨였다.

아르메니아 코냑은 이런 온화한 기후에서 자란 보스케아트 등 7종류의 포도로 만든다. 천연수도 깨끗하고 맛있기로 유명해 코냑을 만들 때 그대로 사용한다.

이 공장에는 3만8000여 통의 코냑이 보관돼 있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1902년산.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 등 유명 인사들의 이름표가 달려있는 통들이 여기저기에 있었다. 이곳을 방문한 기념으로 공장 측에서 선물한 것이다. 숙성될 때까지 이곳에서 보관해 주다가 본인이나 가족이 원할 때 보내준다고 한다.

방문객들의 낙서가 가득한 통이 눈길을 끌었다.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대표단이 방문했을 때 제조한 ‘평화의 코냑’이다. 아르메니아는 1990년대 초 영토 분쟁으로 아제르바이잔과 전쟁을 벌였고 아직도 준전시 상태다. 이 코냑은 아제르바이잔과 완전한 평화가 정착되는 날 개봉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르메니아 코냑은 연간 800만 병을 일본 러시아 등 25개국으로 수출한다. 공급이 달려 아직 한국에까지는 수출하지 못하고 있다.

○체온으로 덥혀가며 향을 즐겨라

아르메니아 코냑의 ‘모든 것’이 보관돼 있는 코냑 박물관을 둘러본 후 안내를 맡은 아스민 샤흐나자리야 씨(25·여)에게서 코냑 마시는 법을 배웠다.

코냑 잔은 포도주잔과는 다르다. 튤립 모양으로 입구가 좁고 바닥은 넓다. 기울여도 쏟아지지 않을 정도로 조금만 따른 후 왼손으로 잔을 들었다. 왼손이 심장과 가깝기 때문이라고 한다.

코냑은 체온으로 덥히고 향과 색을 느끼며 천천히 조금씩 마셔야 한다. 칵테일로도 마시지만 폭음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샤흐나자리야 씨는 “코냑은 연인들이 침실에 들어가기 전에 조금씩 나눠 마시는 술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한다.

프랑스에서는 코냑이 시가와 커피와 어울린다고 하지만 아르메니아에서는 보통 초콜릿과 곁들여 마신다.

코냑 공장은 아르메니아의 유명한 관광코스이기도 하다. 7달러만 내면 누구나 코냑 제조과정을 둘러보고 코냑을 직접 맛본 후 싼 값에 사갈 수도 있다. 20년산 코냑을 공장에서는 50달러에 살 수 있다.

아르메니아는 한국에서 여행하기가 쉽지 않는 곳이다. 지난해 아르메니아를 다녀간 한국인 관광객은 단 두 명. 낯설기도 하지만 유럽이나 모스크바를 경유해야하기 때문에 더 멀어 보인다. 겨울이라 아쉽게도 포도밭을 둘러보지는 못했지만 아르메니아의 ‘코냑 투어’는 이국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예레반(아르메니아)=김기현 특파원 kimki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