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출신인 김진표(金振杓) 의원의 교육부총리 임명을 교육계는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교육부 장관은 으레 교육계 몫으로 여겨 온 만큼 그럴 만도 하다.
그 충격의 배경에는 김 부총리가 평소 주장해 온 ‘교육의 경쟁력’이 앞으로 교육계의 화두가 될 수밖에 없다는 걱정이 깔려 있는 듯하다.
이미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등 색깔이 다른 두 교원단체까지 한목소리로 “경쟁의 논리만을 강조하는 인물은 곤란하다”고 반발하는 등 교육 단체들의 거부감이 크다.
경제부총리 시절 추진했던 정책들은 교육논리보다는 경제논리를 앞세운 것이기 때문에 교육단체들은 “과연 교육철학이 있느냐”고 묻고 있는 것이다. 그는 “그때는 경제부총리로서의 역할을 다했다”고 해명했다.
교육계가 교육부총리를 냈으면 좋았겠지만 교육계 인사가 아니라고 무조건 배격하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교육부 장관들이 거쳐 갔지만 과연 뭘 해놓고 갔는가. 이번에 교육계에서 장관이 나오지 못한 것을 외부의 탓으로만 돌릴 수 있는가. 교육계부터 먼저 자성했으면 한다. 그래서 한 교육부 간부가 한 말이 더 설득력 있게 느껴진다.
“거부감보다 자괴감이 든다. 지금 전국에 358개의 대학과 전문대가 있다. 총·학장이나 시도교육감을 지낸 분이 도대체 몇 분이냐. 전국의 교수가 6만 명을 넘는다. 분명히 교육시스템의 고장 신호다.”
이 때문에 일반 국민 사이에서는 “차라리 잘됐다. 이번에 한번 교육부를 확 뒤집어 보라”는 주문이 나오는지도 모른다.
김 부총리는 “교육은 참된 사람이 인성을 갖추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라고 모범답안 같은 교육관을 피력했다.
그렇지만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는 경제논리와 이론으로 무장한 듯한 느낌이 배어 있다. 교육은 경쟁력 못지않게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역할도 중요하다. 신임 부총리는 교육계의 우려를 귀담아 듣고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교육정책을 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인철 교육생활팀 inchu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