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고도를 기다리며-사뮈엘 베케트

입력 | 2005-06-07 03:06:00


한없이 지루한데 결코 자리를 뜰 수 없는 연극,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데 저 깊은 인간의 심연을 곧바로 느끼게 하는 연극, 근원적인 비애와 경련적인 웃음이 기묘하게 교차하는 연극….

1953년 거의 폐관 직전 상태에 있던 파리의 한 극장에서 ‘고도를 기다리며’가 초연되었을 때 관객들의 첫 반응은 그렇게 막연하고 야릇했다.

그럼에도 조만간 이 낯선 체험에 대한 조용한 열광이 세계로 번져 나갈 것이고, 차후 베케트는 ‘반(反)연극’ ‘신(新)연극’ ‘부조리 연극’ 등으로 명명될 20세기 연극의 새로운 조류를 대표하는 극작가로 손꼽히게 된다. 그 명칭이 암시하듯 그때 사람들은 전통의 거부와 혁신, 그리고 ‘부조리’의 인식에서 이 연극을 이해하는 단서를 구했다.

‘부조리’의 개념은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서구의 총체적 위기상황 속에서 ‘실존적 인간’을 응시하려는 철학적 성찰과 함께 싹텄다. 무엇보다도 이성(理性)과의 부조화를 뜻하는 그것은, 근대사회의 기반이 되어 왔던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깊은 회의 위에서, 인간의 이성이 만물의 척도가 아니며 이 세계도 합리적으로 해명될 수 있는 의미체가 아님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런 철학적 주제를 제기한 장 폴 사르트르와 알베르 카뮈 이후, 철학자이기보다는 철저한 예술가였던 부조리 ‘작가’들을 사로잡은 문제는 어떻게 부조리를 진정 부조리답게 보여 주느냐는 것이었다. 부조리를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논하고 보여 준다면 그건 이미 부조리가 아니지 않을까? 이런 물음에서 촉발된 베케트의 도전은 ‘혼돈에 적합한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었다.

부조리 그 자체로 빚어진 이 형식은 당연히 전통적 형식을 파괴한다. 즉, 이성의 명령으로 짜인 모든 ‘고전적’ 규범과 기법들을 거부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인과론적 서사구조의 해체일 것이다. 기승전결식으로 정형화된 ‘이야기’의 선적 구조야말로 인간과 세계를 ‘의도된’ 의미에 맞춰 ‘조리 있게’ 구성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고도를 기다리며’에서는 그런 서사적 연결을 유도하는 모든 요소가 극단적으로 파편화된다. 이 작품 속에는 시간의 흐름도 없고 공간의 이동도 없다. 의미를 생성하는 어떤 지향성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단지 ‘지금-여기’라는 텅 빈 상황으로 제시되는 그 시공은 요컨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아무도 오지 않고, 아무도 가지 않는 ‘끔찍한’ 세계이다.

거기서 등장인물은 마치 아무 역할도 주어지지 않은 채 무대 위로 내던져져 뭔가를 연기해야 하는 배우와도 같다. 이 할 일 없는 세계 속에서는 할 일을 기다리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밖에 달리 할 일이 없다. 그들이 고도를 기다리는 것은 바로 할 일, 즉 ‘역할’을 얻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고도는 올 것인가? 과연 그럴 희망은 있는가?

그러나 ‘고도를 기다리며’는 그 순환구조를 통해 끝없이 유예되는 기다림 속에서 끝없이 피폐해지고 있는 인간의 모습만을 그리고 있다. 전례를 찾기 힘든 이 도저한 절망의 상상은 우리를 어떤 역설적인 악몽 속으로 이끌어 가는 듯하다. ‘희망’과 ‘의미’의 기치를 걸고 인간을 오히려 병들게 만드는 거짓 진리들에 강력히 저항하는 악몽!

이인성 서울대교수·불어불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