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맘때였다. 친한 의대 교수와 같이 얘기를 나누다 주제가 황우석 박사의 연구로 옮겨졌는데, 그분은 놀랍게도 이 연구의 성공이 가져올 사회적 후유증에 대한 걱정을 하셨다.
요약하자면 사람은 죽어야 할 때 죽어야 하는데 수명이 늘어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들, 그리고 많은 치료비를 낼 수 있는 사람들만 살 수 있는 상황이 왔을 때 생길 사회적 긴장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었다.
지금 우리나라는 황우석 박사팀의 쾌거에 열광하고 있다. 민족적 자긍심이 높아졌으며, 성공 시에 예상되는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에 대해 기뻐하고 있다. 필자도 그중 한 사람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사고로 전신마비나 하반신마비를 당한 척수장애자들이 다시 걸을 수 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찬 일이다. 이런 환자들의 고통을 해결해 줄 수 있다면 노벨 의학상뿐만 아니라 평화상까지 수여해도 모자랄 일이 아닌가.
그러나 전 세계인들이 모두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서구 일각에서 제기되는 생명윤리에 대한 문제 제기는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가톨릭과 성균관에서의 반대성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혁명’이 파생시킬 사회적 문제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도 들리기 시작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 제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과학기술 발전은 인류에게 밝은 미래상을 보여 주고 유토피아에의 꿈을 심어 주기도 했지만 디스토피아(Dystopia)라는 잿빛 전망을 주기도 했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리들리 스콧의 ‘블레이드 러너’, 폴 버호벤의 ‘토털 리콜’과 같은 소설과 영화들은 이러한 인류 보편적인 우려를 형상화한 작품들이다.
어떤 신과학 기술이건 확산과 통제라는 두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핵 기술의 발명과 전파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미국이 아무리 이 기술을 독점하려 해도 핵 기술은 결국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갔다. 이러한 핵 확산은 인류를 공멸로 끌고 갈 것이라는 예측이 당연히 나왔다.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그날 이후’와 같은 영화들이 그런 암울한 미래를 예측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핵무기에 의한 파국이 안 온 것은 그만큼 핵 사용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제기와 그것을 통제할 만한 사상과 제도적 장치의 발전이 뒤따랐고,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병행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일부 테러리스트에 의해 악용될지 모르지만 현재까지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핵을 군사적으로 사용한 처음이자 마지막 케이스였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오펜하이머,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와 같은 과학자들이 핵 기술을 놓고 벌였던 고뇌와 철학적 성찰도 오늘날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흔히 황우석 박사팀의 성과는 산업혁명에 비견되고 있다. 산업혁명도 동시에 병행된 자유주의라는 사상적 성찰이 뒤따르면서 성숙의 길을 갔다. 생명공학도 마찬가지다.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인간복제, 키메라(이종 복제), 난자 밀매 등 앞으로 무수히 제기될 문제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필요한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미 제러미 리프킨의 ‘바이오테크시대’와 같은 미래학 연구들과 ‘가타카’와 같은 영화들은 인류의 미래가 유전자 계급사회가 될지도 모른다는 경고를 던지고 있다.
생명공학 분야의 선두에 선 우리나라가 이런 기술을 적절히 통제할 만한 사상을 정립하고 제도적 장치를 병행하는 작업에서도 선두에 서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작은 일례로 현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한 명도 없는 생명윤리 전문가를 보강해야 하지 않을까. 역사학자 존 루이스 개디스가 주장했듯이 “미래는 예측되는 것이 아니고 대비(對備)되어지는” 존재이다.
황우석 박사팀의 성공을 뿌듯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하나로서 이러한 작업이 병행돼야만 그 성과가 더 빛이 날 것이고 그것이 바로 앞으로 다가올 미지의 세계에 대한 대비가 되리라 확신한다.
강규형 명지대 교수·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