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박순철
“나는 한왕 유방이다. 성안에 식량이 다해 이제 항복하려 한다. 어서 과인을 패왕께로 데려다 달라.”
그 말에 초나라 장수는 흠칫하며 스스로 한왕이라고 밝힌 사람을 자세히 바라보았다. 전에 한왕이 초나라의 별장(別將)처럼 되어 한편으로 싸울 때 멀리서 한왕을 본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그게 오히려 탈이 되었다. 수레 안의 사람을 틀림없이 한왕이라고 여긴 그 장수는 제법 공손하게 군례(軍禮)까지 올리며 말했다.
“지금 우리 대왕께서는 서문 쪽을 지키고 계십니다. 곧 그리로 사람을 보내 이 일을 대왕께 아뢰겠습니다.”
그리고는 군사들로 하여금 한왕의 수레를 에워싸게 하는 한편 부장 하나를 급히 패왕에게 보냈다. 그때 패왕은 형양성 서문 밖에서 한왕의 퇴로를 끊고 있었다. 한왕이 관중으로 달아나려면 그리로 나가는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한왕이 항복해왔다는 게 워낙 놀라운 일인데다, 군사들 중에도 어슷비슷 한왕을 알아보는 자들이 적지 않아 소문은 입에서 입으로 재빠르게 퍼져나갔다. 그리하여 서문 쪽에 있는 패왕에게 그 일이 알려지기도 전에, 동문 쪽을 에워싸고 있던 초나라 군사 모두에게 그 소문이 돌았다.
“이제 이 지긋지긋한 싸움은 끝났구나.”
“어디 보자. 한왕 유방이란 자가 대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군사들이 그렇게 주고받으며 병장기를 놓아두고 한왕의 수레가 있는 곳으로 몰려와 구경했다. 서로 손짓하며 낄낄거리는 것이 조금도 싸움터에 있는 군사들 같지 않았다. 한왕의 수레를 따르는 수천 명 한군(漢軍)이 아무도 병장기를 쥐고 있지 않아 더욱 마음을 놓았는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와 비슷한 일은 서문 쪽에서도 일어났다. 패왕은 한왕이 항복해 왔다는 것을 너무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동문 쪽에서 달려간 부장이 소식을 전하기 바쁘게 껄껄 웃으며 말했다.
“그 비루한 작자가 또다시 목숨을 빌러왔구나. 하지만 이번에는 안 된다. 반드시 그 머리를 제물로 올려 아부(亞父)의 원통한 넋을 달래주리라.”
그리고는 아무런 의심 없이 동문 쪽으로 달려갔다. 서문을 에워싸고 있던 나머지 장졸들도 그 소문을 듣자마자 환성을 지르며 항복하러 나온 한왕 유방을 구경하러 동문 쪽으로 몰려갔다. 서문 문루(門樓)위에서 그와 같은 초나라 군사들의 움직임을 살피고 있던 이졸 하나가 아래를 보며 가만히 알려왔다.
“이제 성문 밖에는 초나라 장졸들이 하나도 없습니다. 모두 동문 쪽으로 몰려갔습니다.”
그러자 형양성 서문 쪽 성벽에 숨어있듯이 붙어서있던 수십 기(騎)의 인마가 조용히 서문 쪽으로 다가갔다. 말위에 높이 앉아 앞장을 선 것은 뜻밖에도 여느 장수 차림을 한 한왕이었다. 곁에는 장량과 진평, 역이기가 뒤따르고, 관영 노관 하후영같은 측근 장수들이 갑사(甲士) 몇 십 기(騎)와 함께 그들을 에워싸듯 호위했다.
어사대부 주가(周苛)와 종공(종公), 한왕(韓王) 신(信)과 위왕(魏王) 표(豹)가 나란히 서서 그런 한왕 일행을 배웅하였다. 한왕이 그들 네 사람을 보고 잠긴 목소리로 말했다.
글 이문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