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발기인대회를 갖는 시민단체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련)’의 출범이 관심을 끈다. 과실련은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 등 대표적인 과학기술인을 비롯한 학계 산업계와 시민사회에서 1만 명 규모의 회원을 확보해 올해 말 공식 활동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한다.
‘시민단체 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시민단체가 넘치지만 과학기술 발전에 전념할 목적으로 생기는 대규모 시민단체는 과실련이 처음이다. ‘시민’과 ‘최고 전문가’의 결합을 시도한 이 단체의 운영방식은 국내 시민운동의 바람직한 새 모델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단체에 시민은 없고 운동가만 있다’는 비판을 받아온 다수의 기존 시민단체들과는 크게 다른 모습이기 때문이다.
창립 발기문에서 과실련은 ‘국민 모두에게 과학적 사고(思考)를 확산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가 운영이나 사회문제에서 ‘억지’와 ‘힘’이 득세하는 것은 ‘과학 마인드’가 부족한 탓이 크다고 이들은 지적한다. 이 단체의 과학지식 보편화·대중화 노력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젊은 세대의 흥미가 높아지고, 일반 국민도 과학적 사고에 익숙해진다면 국가발전은 물론이고 합리와 순리(順理)를 존중하는 사회풍토도 진작될 것이다.
과실련은 정치 지향성과 권력 유착을 배제한다는 점에서도 환영받을 만하다. 회원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여 과학기술을 발전시키자’는 순수한 뜻으로 뭉친 사람들이라고 한다. 월 5000원씩 회비를 받아 ‘설렁탕 한 그릇 덜 먹고’ 과학기술사회 앞장서기 운동을 벌이겠다니, 정부에 손 벌리는 일부 단체들과 대비된다.
기존의 많은 시민단체는 시민 참여도가 낮으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매우 큰 ‘기형적 구조’ 때문에 시민운동의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는 것이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의 연구결과다(본보 17일자 보도). 과실련의 새로운 시민운동이 큰 성과를 낳도록 우리도 협조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