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8월 9일 2시간 29분 19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는 손기정 선생.
“나라 없는 백성은 개와 똑같아. 만약 일장기가 올라가고 일본국가인 기미가요가 연주되는 것을 알았다면 난 베를린 올림픽에서 달리지 않았을 거야.”
‘마라톤 영웅’ 손기정 선생(1912∼2002)은 생전에 곧잘 기자에게 이렇게 되뇌었다. 1936년 8월 9일 독일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손 선생은 시상대 위에서 시종 고개를 떨어뜨리고 땅바닥만 내려다봤다. 그는 그때 ‘내 생애 다시는 일장기를 달고 달리지 않으리라’고 맹세했다.
그리고 광복될 때까지 단 한번도 마라톤에 눈길을 주지 않았다. 손 선생은 베를린 올림픽 선수촌에서 연습할 때도 일장기가 달린 훈련복을 입지 않았고, 우승 후 초청 행사에도 그냥 양복 차림으로 나갔다. 일본인 단장이 뭐라고 했지만 들은 체도 하지 않았다.
당시 찍은 수많은 사진 어디에도 일장기가 달린 옷을 입은 손 선생의 모습은 경기 당일을 빼놓곤 없다. 그뿐인가. 손 선생은 팬들이 사인해 달라고 하면 서슴없이 한글로 ‘손긔정’이라고 쓰고 그 옆에 ‘KOREA’라고 썼다.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면 “KOREA”라고 대답하고 다시 한번 천천히 “Me Korean Not Japanese”라고 말했다. 지금도 당시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이 사인한 방명록에는 한글로 ‘손긔정’이라고 뚜렷이 적혀 있다.
손 선생이 태극기를 처음 본 것은 베를린 올림픽에서 우승한 직후였다. 당시 두부공장을 하며 베를린에 살던 안중근 선생의 사촌동생 안봉근이 손 선생과 3위를 차지한 남승룡 선생(1912∼2001)을 은밀히 집으로 불렀다. 안봉근은 그들을 서재로 데려가 “이것이 태극기다. 조국의 국기다”며 벽에 걸린 ‘아름다운 무늬’를 가리켰다. 손 선생은 “그때 뜨거운 피가 끓어오르며 한순간 숨이 멎는 것 같았다”고 몇 번이고 말했었다. 그 감격에 온몸이 감전됐고 우리 민족은 저 태극기처럼 면면히 살아갈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고 한다.
광복 후 손 선생은 마라톤 유망주 20여 명을 뽑아 서울 안암동 자택에서 밥을 먹여가며 훈련을 시켰다. 1947년 보스턴 마라톤에서 우승한 서윤복(82) 선생도 그가 길러냈다. 1950년 보스턴 마라톤에선 제자들인 함기용, 송길윤, 최윤칠이 1, 2, 3위를 휩쓸었다. 제자인 서 선생은 “선생님이 합숙비를 마련하기 위해 여기저기 뛰어다니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고 기억을 되새겼다.
16일 손 선생이 어린이회관에 기증한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이 논란 끝에 공개됐다. 어린이회관 측은 “분실 방지를 위해 따로 보관했었다”며 “나머지 기증품들과 함께 볼수 있도록 빠른 시일 내에 기념관을 개관하겠다”고 말했다. 황당하다. 어린이회관 측은 2002년 11월 손 선생이 눈을 감았을 때도 “기념관을 곧 열겠다”고 발표까지 했다. 생전에 손 선생은 기자에게 “세계 아동의 해인 1979년 5월 어린이날을 맞아 금메달과 전국에서 보내온 축전 등 1500여 점을 기증했다”고 말했다. 나머지 기념품들은 제대로 보관돼 있을까?
광복 60돌. ‘마라톤 영웅’ 손기정 선생은 변변한 전기(傳記)조차 없다. 그의 기념품들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제대로 전시조차 되지 않고 있다. 그의 외손자(이준승·38)가 사재를 털어 세운 손기정기념재단은 비용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난 달릴 때 뒤돌아 본 일이 한번도 없었어. 누가 따라오건 말건 앞만 보고 죽어라 달렸지. 또 배만 부르면 반드시 1등을 했어. 그때 밥을 맘껏 먹고 달렸다면 더 좋은 기록이 나왔을 거야. 요즘 어린이들이 이런 걸 알기나 할까? 정신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손 선생의 목소리가 귀에 생생하다.
김화성 스포츠전문기자 mar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