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구려 코드…2000년의 비밀]고려불화의 비밀은 옷에

입력 | 2005-10-17 03:10:00

일본 조라쿠지가 소장하고 있는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 관음보살이 걸치고 있는 반투명 사라에 S자 모양의 영기무늬에서 다른 영기의 싹이 움터 나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사진 제공 강우방 교수


《고려 불화(佛畵)를 처음 본 것은 1975년 가을 어느 날이었다. 나는 당시 일본 교토(京都)박물관에서 연수 중이었는데 스튜디오에서 조각품을 촬영하고 있었다. 한참 작업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큰 문이 열리면서 크고 긴 상자가 안으로 밀려오는 것이었다. 스튜디오 벽의 높이는 5m가량 되었는데 그림은 그 벽면 전체를 가득 메울 정도로 큰 불화였다. 그림이 다 펴지는 순간 갑자기 숨이 막히는 것 같았다. 크기(높이 4.20m, 폭 2.56m)도 그렇거니와 그림의 아름다움이 빼어나 나는 넋을 잃고 하염없이 서 있었다. 그 불화가 바로 1310년에 그려진 가장 크고 아름다운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였다. 일본 가가미(鏡)신사 소장품으로 몇 년에 걸친 보존 처리 끝에 그날 처음 펴 보는 그 자리에 내가 우연히 있었던 것이다. 잊을 수 없는 날이었다.》

그로부터 기회가 닿을 때마다 고려 불화를 자세히 살피곤 했다. 그런데 살피는 동안 고려 불화에는 여래나 보살에 광배(光背·머리 뒤의 빛 장식)가 있되 금색의 윤곽만 있고 투명하여 전혀 무늬가 없음을 깨닫게 됐다. 부처는 조각이나 회화로 표현할 때 반드시 광배에 불꽃 모양의 영기무늬가 나타난다. 조선시대 불화에는 반드시 광배에 영기무늬로 위대한 인간의 정신력을 마음껏 나타냈던 것이다. 그러면 고려 불화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그것을 나타냈을까. 그것을 발견한 것은 작년 일본 규슈(九州)국립대에서 열린 동아시아학 심포지엄 발표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였다. 모든 고려 불화에는 집중적으로 옷에 영기무늬가 나타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고려 불화의 비밀은 옷무늬에 감춰져 있다

고려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자처했던 나라였으니 고구려의 전통을 전 장르에 걸쳐 부활시켰던 터에 불화라고 그저 지나칠 리는 없었을 것이다. 고려 불화는 특히 여래나 보살의 옷에 고구려 고분 벽화의 영기무늬의 생성 과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 마음속으로 소스라치게 놀랐다. 고구려의 벽화, 예컨대 우현리 중묘의 벽화에 그려진 구름 모양의 영기무늬는 그 영기 싹의 생성 과정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는데 어떤 과정을 거쳐 그 표현의 원리가 600여 년 만에 되살아났단 말인가.

①은 평양 우현리 중묘의 고구려벽화에 그려진 구름 모양의 영기무늬 사진. ②는 일본 이시우마데라 소장 고려 불화의 약사여래가 걸치고 있는 의상의 장식무늬 사진. ③은 일본 고후쿠고코쿠젠지의 아미타 8대보살도의 아미타여래 대의의 무늬 상세도. S자 모양의 큰 영기무늬에서 다른 영기 싹들이 단계적으로 움터 자라는 형태가 같다. 사진 제공 강우방 교수

우리가 연화당초원문(蓮花唐草圓文)이라 불러 왔던 고려 불화의 둥근 원 안의 모든 무늬가 갖가지의 영기무늬임을 확인한 순간은 나에게는 충격적이며 동시에 큰 기쁨이었다. 일본 조라쿠지(長樂寺)의 수월관음도의 투명한 사라의 무늬는 고후쿠고코쿠젠지(廣福護國禪寺) 소장 아미타 8대보살도의 아미타여래 대의(大衣)의 무늬와 똑같다. S자 모양의 영기무늬에서 조금 긴 영기의 싹이 움터 나가는데 이곳저곳에 작은 영기 싹이 움터 나오는가 하면 독립하여 떠돌기도 하는 것이 우현리 중묘 구름 모양 영기무늬의 표현 원리와 똑같지 않은가.

원 안의 그 무늬는 탄력 있게 곡선을 이루며 끝이 말려서 영기의 싹임이 분명하다. 이것이 만일 연화당초무늬라 하면 완전히 연꽃 모양을 취해야 하는데 연꽃이 아니다. 설령 마쓰오지(松尾寺) 소장 고려 불화나 이시우마데라(石馬寺) 소장 고려 불화에 나타난 무늬처럼 연꽃의 모양을 취했다 하더라도 연꽃 줄기의 이곳저곳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며 움터 나오는 영기의 싹을 보면, ‘연꽃 모양의 영기무늬’임을 알 수 있다. 네즈(根津)미술관과 우리나라 호림미술관의 고려 불화 무늬도 위와 같은 원리로 영기무늬를 나타내고 있다.

○ 고구려 벽화에서 고려 불화로 이어진 영기무늬

일본 MOA미술관 소장 아미타삼존내영도(阿彌陀三尊來迎圖)의 무늬도 호림미술관의 무늬와 똑같다. 이렇게 서로 같은 무늬들이 고려 불화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면 몇 가지 영기무늬 모본이 있어 그때그때마다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그린 것 같다. 자, 이제 고려 불화의 여래와 보살의 광배에 왜 영기무늬가 생략됐는지 알 수 있게 됐다. 불상에는 반드시 보관이나 광배에 영기무늬를 나타내거나 천의나 치마를 휘날리게 하여 신령스러운 기운을 표현하기 마련인데, 고려 불화에는 광배나 보관에 현란한 영기무늬가 없으며 천의나 치마는 조용히 아래로 흘러내릴 뿐이다. 조각에 비해 회화가 표현이 자유스러운 만큼 불화에서도 영기무늬 표현이 수월하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 불화에서는 옷 무늬에 영기무늬를 마음껏 표현하여 가득히 채웠던 것이다. 그 작은 원 안에 있는 무늬는 노자가 말하는 ‘창조적 혼돈의 세계’였다.

고려 불화의 이러한 무늬는 중국이나 일본에는 전혀 없다. 그러한 무늬는 고구려에서 성립하여 고려 불화에서 부활하며 그대로 조선시대의 조각과 불화에 계승된다. 이러한 영기무늬만 보더라도 고구려의 문화가 그 이후 전개되는 우리 문화의 모태가 됐음을 알 수 있으며, 중국문화권에서 고구려의 문화가 벗어나 있어 독자적 길을 유장하게 걸어왔음을 넉넉히 증명할 수 있지 않는가.

강우방 이화여대 초빙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