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혹스럽다. 이런 장동건을 바라봐야 하는 심정은….
장동건이 노예로 나온다는 건 그 자체로 쇼크다. 지저분한 산발 머리에다 잘생긴 얼굴에는 때 국물이 흐른다. 주인이 던져준 고깃덩이를 차지하기 위해 점프를 하고 “고기를 배불리 먹을 수 있으니까요, 주인님!”한다(그나마 못 알아듣는 중국말로 해서 다행이다). 결정적으로 참을 수 없는 건, 그가 ‘주인님’을 등에 업고 엎드린 채 ‘네 발’로 뛴다는 사실이다.
‘미남’이 아니라 ‘배우’의 길을 가고자 하는 장동건. 의당 도전할 만한 변신이겠지만, 보는 사람 마음이 갈기갈기 찢어지는 것까진 또 어찌하랴. 당신이 장동건의 충격적 변신을 감내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면, 지금부터 영화 ‘무극(無極)’의 이야기를 할까 한다.
시공간이 불분명한 미지의 대륙. 초인적 능력을 가진 노예 쿤룬(장동건)은 백전백승하는 장군 쿠앙민(사나다 히로유키)의 목숨을 구한 뒤 그를 보위하게 된다. 장군을 대신해 장군의 갑옷을 입고 왕궁으로 들어간 쿤룬은 왕비 칭청(장바이즈)을 보는 순간 사랑에 빠지고, 왕비를 위협하던 왕을 저도 모르게 죽이고 만다. 진실한 사랑을 할 수 없는 운명에 묶인 왕비는 자신을 구해준 사람이 장군이라고 믿고 그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쿤룬은 칭청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금할 길 없다.
장동건의 획기적인 변신이 돋보이는 첸 카이거 감독의 무협 판타지 ‘무극’. 초인적 능력을 가진 노예 쿤룬(장동건)은 주인으로 모시는 장군의 여인 칭청(장바이즈)을 사랑하게 된다. 사진 제공 올댓시네마
영화 ‘무극’의 키워드는 ‘운명’이다. 쿤룬은 자신에게 덧입혀진 노예의 운명을 거스르고자 하고, 왕비 칭청은 누구와도 사랑할 수 없는 저주스러운 운명의 사슬을 끊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이들에게 사랑의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 중국 미국 공동 투자, 3000만 달러(약 300억 원)의 제작비, ‘패왕별희’를 만든 중국 첸 카이거 감독의 무협물, 게다가 한중일 대표 배우들까지 한데 모아놓은 ‘올스타 전’의 화려하고 떠들썩한 분위기…. 이것만으로도 ‘무극’의 쇼윈도는 뜨겁게 달아오른다.
하지만 이런 최고급 메뉴들을 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극’은 자살골을 넣고 만다. 이 영화는 차고 넘치는 컴퓨터 그래픽(CG)으로 비주얼의 융단폭격을 퍼붓지만, 그 틈에 영화의 키워드인 운명과 사랑의 부피는 비쩍 말라 들어가는 것이다.
‘무극’에는 비주얼에 대한 아이디어가 그야말로 무극(無極·한계가 없음)이다. 수천 마리 소 떼가 병사들을 휩쓸고 지나가고, 쿤룬이 빛의 속도로 질주(물론 네 ‘발’로)하는 장면은 압도적인 스케일과 역동성을 과시한다. 깃털 옷을 입은 칭청의 몸에 줄을 매단 쿤룬이 앞으로 내달으면서 칭청을 연처럼 ‘띄우는’ 모습은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것 이상으로 탐미적이다.
문제는 이런 순간의 이미지가 영화의 서사구조 자체를 갉아먹어 버리면서 ‘멍’한 분위기로 변질된다는 데 있다. 신과 인간, 신화와 현실, 전설과 역사의 경계를 무너뜨리기 위해 영화는 ‘무극’이라는 시공간적 배경을 마치 시간이 정지되고 중력이 존재하지 않는 듯한 완벽한 ‘가상 세계’로 만들고자 한다. 영화는 이 가상 세계를 CG로 ‘도배’하는 과정에서 정작 인물들이 품었을 감정의 질감과 사연의 결을 가꾸는 데 소홀했던 것이다.
‘폭발’이라기보다는 ‘과잉’에 가까운 감정 표현, 인과율이 부족한 행위와 대사는 모두 질식할 만큼 광포한 시각효과에 가위눌려 정작 해야 할 이야기를 차곡차곡 쌓지 못한 이 ‘골다공증’ 영화가 가진 슬픈 운명이 아닐 수 없다. 26일 개봉. 12세 이상.
이승재 기자 sjd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