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여론마당/이한규]對아프리카 외교 전략이 없다

입력 | 2006-03-06 02:59:00


노무현 대통령은 6일부터 13일까지 이집트 나이지리아 알제리 3개국을 각각 방문한다. 한국 정상의 아프리카 방문은 1982년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4개국 방문 이후 두 번째로, 24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탈냉전 이후 미국 일본 중국 등 각국은 대(對)아프리카 외교 강화에 힘쓰고 있다. 미국의 ‘경제 기회 성장법’과 1800개 품목에 대한 관세 철폐, 일본의 ‘2000년 아프리카의 해’ 지정과 ‘아프리카 개발 도쿄 국제회의’, 그리고 최근 들어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석유자원국에 대한 투자 강화와 주변국들과의 관계 개선 등은 21세기 아프리카를 선진국들이 잠재력을 가진 거대한 시장으로 여기며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에 비해 한국은 21세기에 들어와 대아프리카 외교에서 독창적이고 주목할 만한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대통령의 이번 아프리카 방문이 중장기적 대아프리카 외교의 전환점을 만드는 것이 아닌 단순한 답방 외교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2월 22일 외교통상부 장관이 내외 정례 브리핑에서 밝힌 대통령의 방문 목적을 보면 이집트를 통한 중동 정세에 대한 의견 교환, 나이지리아에서의 에너지·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에 대한 호혜적 관계 증진, 알제리에서는 나이지리아와 별로 다르지 않은 에너지·자원 분야의 협력이 전부다.

물론 에너지와 자원이 부족한 한국으로서는 세계적으로 부존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 대륙이야말로 경제 실리를 위한 외교가 우선됨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아프리카에 대한 차별화된 외교 노선이 없는 한국은 조금 느리게 가더라도, 그리고 외교 성과가 당장 나타나지 않더라도 경제적 이익만 추구하는 선진국의 외교 정책을 모방하는 것에서 탈피해야 한다.

아프리카는 짧게는 반세기, 길게는 1세기 동안 유럽의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그 충격과 여파는 독립한 지 반세기가 되어 가는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탈냉전 이후 신자유주의에 의해 아프리카가 세계경제시장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들의 급작스러운 관심 고조에 불안을 느낀 아프리카는 ‘아프리카인에 의한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자주적인 노력에 힘쓰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다. 따라서 탈냉전 이후 외부 강압에 의해 구조조정과 민주화를 실시한 아프리카는 선진국의 아프리카 진출을 고운 시선으로만 보는 것은 아니다.

이번 노 대통령의 아프리카 방문에서 경제적 실리만 추구하는 것으로 비치지 않기 위해 모든 아프리카인이 공감하는 외교적 이슈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 본다. 노예 무역으로 암흑의 시대를 겪었던 역사적 사실, 기아와 가뭄, 분쟁 그리고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으로 인한 전체 아프리카인의 고통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최소한의 외교적 제스처나 비경제적인 문화 협력이 필요하다.

이는 당장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지 못해도 문화적 자산을 중장기적으로 만들 수 있다. 아프리카인들은 자신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강한 애착을 느끼고 있다. 이를 외교적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혜와 외교 전략이 필요한 때이며, 이와 함께 경제적 실리외교의 실효성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한규 서울시립대 연구교수 아프리카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