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사건에 일본 정부가 개입했음을 보여주는 편지. ①은 “보내 주신 가르침대로 내외(內外)에 대해 방관좌시하는 것은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이라는 내용. ②는 “묘의(廟議·각의)에서 결정(決定)되는 대로 단행(斷行)하시기를 희망(希望)한다”는 내용이다.
명성황후 시해사건(1895년 10월 8일·을미사변)이 일본 내각의 지시에 따라 이뤄졌음을 보여 주는 물증이 발견됐다.
최문형(역사학) 한양대 명예교수는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1838∼1922) 육군 대장이 1895년 7월 8일 무쓰 무네미쓰(陸奧宗光·1844∼1897) 외상에게 보낸 편지를 일본 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에서 찾아내 사본과 내용을 공개했다.
야마가타는 이 편지에서 “별첨한 글을 보고 실로 경악해 마지않았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확실한 것은 세외(世外) 백작을 즉각 도한(渡韓)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내 주신 가르침대로 내외(內外)에 대해 방관좌시(傍觀坐視)하는 것은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입니다. 각의에서 결정되는 대로 단행하시기를 희망합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한자와 일본어 필기체로 쓰인 이 편지에서는 행간에 담긴 의미가 중요하다”면서 “일본 내각의 핵심 인사들이 명성황후에 대한 회유 정책을 포기하고 그를 제거하는 강경책으로 전환하게 된 당시의 심정과 이 같은 분위기가 일본 각의의 결정에 반영됐음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편지는 총리를 지낸 거물로 당시 청일전쟁을 진두지휘해 승리로 이끈 뒤 일왕의 자문에 응하는 ‘겐로(元老)’였던 야마가타 대장이 폐병 요양차 지방에 머물면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각의 인사들과 서신 왕래를 통해 대외정책을 조언하던 무쓰 외상과 명성황후 제거 필요성을 논의했음을 보여 준다.
편지에 등장한 세외 백작은 당시 주한 일본공사로 조선 문제에 대한 전권을 위임받았던 거물 정치인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1836∼1915)를 가리킨다. 청일전쟁 기간에 주한공사를 자원했던 이노우에는 명성황후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를 끌어들이자 이에 대한 대책을 본국 정부와 협의하기 위해 귀국해 있었다. 이 편지가 쓰인 직후인 7월 10일경 이노우에는 자신의 후임으로 외교에 무지한 무인 출신의 미우라 고로(三浦梧樓·1846∼1926)를 추천했으며 9월 1일 미우라가 주한공사로 부임한 뒤 37일 만에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났다.
최 교수는 “이 편지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개입을 부인하고 미우라-대원군 주모설을 주장해 오던 일본 측 주장을 무너뜨리는 결정적 증거”라고 말했다.
한영우(국사학) 한림대 특임교수도 “일본 정부가 사건 관련 자료를 송두리째 파기한 점을 감안할 때 일본 정부의 개입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이만 한 자료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