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종석기자의 퀵 어시스트]심판은 3D업종?

입력 | 2006-06-14 03:08:00


10년 역사의 국내프로농구에서 심판 21명 가운데 프로 선수 출신은 4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경기를 주관하는 주심급 심판은 단 한 명도 없다.

선수들이 은퇴 후 심판이 되는 것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한국농구연맹(KBL)은 18일까지 수련심판을 모집하고 있지만 이런 냉담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지원자는 별로 없다. 프로에서 뛰던 선수는 13일까지 단 한 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당초 KBL은 심판 자원을 늘리기 위해 이번에 10명 가까이 선발하겠다며 의욕적으로 공채에 나섰지만 반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그 이유는 우선 수련심판에 대한 보상이 낮은 탓이다. 연봉 2000만 원 정도로 선수 평균 연봉(1억900만 원)은 물론이고 최저 연봉(3300만 원)에도 크게 못 미친다. 현재 심판 최고 연봉은 5000만 원 정도.

심판 61명으로 운영하는 미국프로농구(NBA)의 경우 최고 연봉은 50만 달러에 플레이오프 출전 수당을 합하면 100만 달러 가까이 받는 심판도 있다.

굳이 NBA와 비교하지 않더라도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동네 스포츠센터 농구 교실 코치를 해도 수련 심판 이상의 대우를 받는다고 한다.

프로야구는 ‘포청천’의 등용문인 심판 학교에 지난해 173명이 지원해 4명이 뽑히며 치열한 경쟁률을 보였다. 야구 심판은 안정된 직업으로 장래가 보장된다는 게 한국야구위원회 이진형 홍보팀장의 설명.

현실적인 이유와 함께 농구 선후배에게서 경기 도중 받게 될 따가운 시선도 부담스럽다.

한솥밥을 먹던 감독 또는 선수들에게 손가락질 받거나 욕먹기 일쑤. 심판이라는 이유로 다른 농구인들과 술 한잔, 밥 한 끼도 마음 놓고 할 수 없다. 불필요한 오해에 휘말릴 수 있어 자신의 경조사도 알리기 힘들다.

우수한 심판 없이 리그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중립을 상징하는 심판의 회색 유니폼을 누구나 멋있고 자랑스럽게 여기는 풍토가 아쉽기만 하다.

김종석기자 kjs012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