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다섯수레
◇경계를 넘는 여행자/지명관 지음/256쪽·1만2000원·다섯수레
“어느 봄날, 나무 그늘이 드리워진 캠퍼스 잔디에 드러누웠던 적이 있었다. 문득 올려다보니 나뭇가지에 누군가 ‘절망’이라고 새겨놓은 게 아닌가. 나는 소스라치게 놀라 벌떡 일어났다.… 키에르케고르의 ‘죽음에 이르는 병’을 번역본과 대조하며 읽고 또 읽었다.”
꼿꼿한 기독교인이자 실천적 지식인으로 평생을 살아온 지명관(82·사진) 전 한림대 교수. 그는 이 자서전에서 식민지, 분단, 전쟁, 독재와의 투쟁의 한가운데를 헤쳐 온 지식인의 자화상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나는 언제나 현실 속에 뛰어들어 살아갈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눈을 감고 이른바 학문의 세계로 도피할 것인가 하는 양자택일의 문제로 고민해 왔다.”
1924년 평북 정주에서 태어난 그에게 광복의 감격은 또 다른 절망에 불과했다. 극심한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 아버지처럼 따르던 선생님과 결별해야 했고, 잔인한 전쟁 속에서 미쳐버린 대학 동기생을 보면서 자신은 정상적인 인간인가를 되물어야 했다.
문학청년이었다가 4·19혁명을 계기로 본격적인 사회참여 지식인으로 나선 그는 1964년 7월 대학 강단에서 물러나 장준하 선생이 창간한 ‘사상계’의 주간을 맡았다. 당시 ‘사상계’는 한일협정 반대운동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기개 높은 민족주의자로 한일협정에 반대해 치열하게 싸운 장준하는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냉정한 현실주의자이기도 했다. 장준하는 ‘한일협정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지명관, 김준엽(전 고려대 총장) 등 세 사람을 일본에 보낸다.
당시 열흘간의 일본 여행은 그의 인생을 뒤바꿔 놓았다. 미국 유학, 유럽, 중동 여행을 하며 사상적으로 큰 변화를 겪은 그는 숨 막히는 유신정권을 피해 1972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그 후 20년간 도쿄에서 망명객 생활을 한다.
“지식인이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이데올로기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사회에 있어서 어떻게 휴머니티를 위하고 있는가 하는 자세에서 바라봐야 될 것이다. 무엇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킬 것인가. 무엇에 대하여 항거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사상계 1966년 9월호)
그는 1973년 5월 일본 ‘세카이(世界)’의 편집장이었던 야스에 료스케(安江良介)의 권고로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T·K생’이라는 필명으로 쓰기 시작했다. 필자에 대한 수많은 억측을 낳았던 ‘통신’은 1988년 3월까지 무려 15년간 계속됐다. 이 ‘통신’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독재정권 반대 투쟁을 전 세계에 알리고 기독교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인 지원과 연대를 이뤄내는 역할을 했다.
격동의 세월을 돌아보면서 지 교수는 “모든 혁명은 실패한 혁명”이라는 정치 철학자 해나 아렌트의 전체주의 비판철학에 깊이 천착하고 있다고 말한다.
“왜 한국의 정치인들은 권력을 잡으면 묵묵히 바른 정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소리를 높여 쇄신을 선언하는 것일까. 모두가 정권만 잡으면 뜨뜻미지근한 개혁은 혐오하고 전혀 새로운 시대를 꿈꾸는 혁명가가 되는 것이다. 머지않아 새로운 세력은 그들이 내걸었던 구호에 의해 도리어 자신들이 심판을 받게 된다.”
지 교수는 이 책에서 이 시대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가부장적 권위주의 체제 대 혁명적 저항세력이라는 비타협적 대결구도를 극복한 이후의 민주주의가 중요하다”며 “상대를 적과 우군으로 나누어 온 시대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바로 그것”이라고 강조한다.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