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5일 낮까지도 공식논평을 내놓지 않은 채 사태 추이를 관망했다. 중국은 보통 민감한 사안에 대해선 즉각적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 '침묵'은 중국으로서도 적지 않게 곤혹스러워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듯 하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이날 "우리는 미사일 발사 보도를 봤고, 보다 정확한 상황파악을 위해 더 많은 정보를 기다리고 있다"고만 말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당장 미국과 일본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를 열어 대북 제재방안을 논의하자고 나서고 있고, 북한은 '미사일 주권'을 주장하는 상황이라 섣부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맹방으로서 정확한 사태파악이 우선이라는 판단인 셈이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에 앞서 중국에 사전 통보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중국은 여러 채널을 통해 진행상황을 주시해왔다. 북한 입장에서도 향후 중국의 역할이 절실한 형편이다. 따라서 어떤 형식으로든 북-중간 사전 정보교환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이 감지된 이래 수차례에 걸쳐 우려를 표시해왔다.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최근 최진수 주중 북한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중국 측의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고,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지난달 28일 "사태를 악화시킬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어쨌든 중국으로선 '입술(脣)과 이(齒)'의 관계인 북한을 보호하면서 "북한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중국은 도대체 뭘 한 것이냐"는 국제사회의 비난도 감수해야 하는 입장이다. 중국으로선 일단 북한 측에 유감의 뜻을 표명하면서 동시에 이로 인해 동북아시아에 긴장이 조성돼선 안 된다는 원론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이철희기자 klim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