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곡은 근처에 있는 나무 옆을 스치는 바람 소리, 청중이 웅성거리는 소리 등 온갖 소리로 가득 찼다.”
1952년 8월 29일 미국 뉴욕 주 우드스톡의 야외 공연장. 전위음악가 존 케이지의 ‘4분 33초’가 발표되는 순간이었다.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가 걸어 나와 피아노 앞에 앉았다. 그는 피아노 뚜껑을 닫고 열기를 반복하더니 정확하게 4분 33초 뒤 자리에서 일어섰다. 피아노 소리는 없었다.
대신 청중이 들은 ‘음악’은 한 예술평론가의 말마따나 ‘바람 소리, 웅성거리는 소리들’뿐이었다.
‘연주하지 않은 연주’라고 악보가 없는 것은 아니다. 3악장으로 구성된 ‘4분 33초’의 악보에는 악장마다 ‘TACET(침묵)’라고 적혀 있다. 케이지는 악장을 구분하기 위해 33초, 2분 40초, 1분 20초마다 피아노 뚜껑을 열고 닫으라는 지시 사항을 악보에 적었다.
우연하게 빚어지는 자연스러운 소음도 음악일 수 있다는 것이 ‘4분 33초’에 담긴 메시지였다. 이 곡에서 케이지는 의도적으로 소리와 침묵 사이의 관습적인 구분을 깨뜨렸다. 바람 소리와 소음으로 채워진 ‘4분 33초’처럼 침묵도 사실은 혼란한 소리로 가득하다. 음악은 의도된 소리, 침묵은 의도되지 않은 소리로 구성될 뿐이다.
케이지는 평소 연주회장의 반향음에서부터 평범한 일상의 소음까지 모든 소리가 같은 가치로 취급받아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피아노 현 사이에 너트, 볼트, 야채 등을 끼워 넣어 음을 변조시키기도 하고 항아리에 물을 쏟아 붓거나 휘파람을 부는 곡을 만들기도 했다. ‘4분 33초’를 발표하기 1년 전 뉴욕의 한 음악회에서 ‘상상적 풍경 4번’이라는 작품을 발표했을 때에는 통상적 악기 연주 대신 라디오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향을 들려줬다.
케이지는 백남준(비디오 아트), 머스 커닝햄(무용) 등과 협력해 다른 분야의 전위예술로 관심을 확장하고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 케이지를 ‘아버지’라고 부른 백남준이 생전에 커다란 가위를 들고 달려들어 케이지의 넥타이를 잘라 버린 퍼포먼스도 유명하다.
관습적 음악에 길들여진 귀에 그의 음악은 한없이 낯설지만, 케이지는 음악에 우연성이라는 요소를 도입해 현대예술의 모습을 바꾼 예술가였다.
김희경 기자 susan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