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과학세상/곽상수]식량 안보의 열쇠 ‘생명공학’

입력 | 2006-10-28 03:00:00


8월 26일 일본 돗토리 현 구라요시 시 시민홀에서 ‘농업 대파멸’이란 모의 재판극이 열렸다. 미래 식량 문제의 위험성을 알리고 대응하기 위해 지역 지식인들이 개최했다.

2025년이 되면 세계 인구는 80억 명을 넘고 에너지 위기, 환경 재앙으로 식량 문제가 인류의 멸망을 초래하며 일본의 식량 안보가 매우 위험해진다고 주장하는 젊은 농업인이 ‘정책 비방죄’로 기소당한 뒤 피고인 주장의 진위를 가리는 내용이다.

모의 재판극에는 대학 학장, 변호사, (지방정부) 지사가 배우로 등장하고 시민들이 배심원 역할을 했다. 일본의 식량자급률은 약 40%로 한국의 28%에 비해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식량 문제에 대해 국민적 합의점을 도출하고 미래를 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량자급률은 식탁 위의 모든 음식물 가운데 국내에서 생산하는 비율을 말한다. 보릿고개가 있었던 1960년대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약 90%였으나 크게 감소하면서 현재는 30%를 밑도는데도 우리는 식량 문제에 매우 소홀하다.

주곡인 쌀의 경우만 1970년대 녹색혁명의 덕분으로 자급이 가능하다. 밀, 콩 등 다른 작물은 90% 이상 수입에 의존한다. 북한에 식량까지 지원하는데 식량이 부족하다고 하면 국민이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정치인과 지식인은 부족한 식량을 돈을 주고 수입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우여곡절 끝에 재개된 새만금 간척사업을 생각해 보자.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체가 그곳에 무엇을 심을지 고민하지 않고 어떤 수익사업을 할지에 더 관심이 많은 것 같아 안타까운 심정이다.

식량 안보 구축을 목표로 절대 농지를 확보하기 위해 1991년 새만금 간척사업을 시작했을 때 식량자급률은 40%를 넘었다. 15년이 지난 현재 식량자급률이 뚝 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정치권과 국민의 식량 안보 의식은 오히려 옛날보다 못하다고 생각된다.

세계적 환경단체인 미국 월드워치(Worldwatch)는 급증하는 인구, 농지 부족, 농업용수 부족, 토지생산성 감소로 식량위기가 조만간 닥칠 것이라고 전망한다. 지금은 달러만 있으면 필요한 식량을 수입할 수 있지만 돈이 있어도 식량을 구할 수 없는 시기가 현실로 다가올 것이다. 곡물을 생산하는 미국 등 몇 개 국가 또는 몇 개 다국적 기업이 가격을 결정하면 우리에게 많은 부담이 될 것이다.

세계 식량 사정이 나빠지고 국내 경제가 좋지 않아 식량을 수입할 돈이 없을 경우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식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생존 자체임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식량 안보를 유지할 최소한의 식량자급률을 확보해야 한다. 상황별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이 필요하다.

21세기는 생명공학의 시대라 한다.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은 파란 장미(blue rose)는 개발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영어사전에 blue rose는 ‘불가능’이란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생명공학자들은 첨단 생명공학 기술로 파란 장미를 개발해 조만간 상용화한다고 한다. 파란 장미처럼 불가능한 일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공학 기술은 인류가 당면한 식량 문제뿐 아니라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치인, 지식인, 과학자, 국민 모두 국가 생존에 직결되는 식량 안보 구축에 현명하게 대응하기 위해 농업생명공학 연구에 국가적인 투자와 관심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가 안보를 위해서도 식량 안보는 필수이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생명공학연구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