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횡설수설/한기흥]직업 만족도

입력 | 2006-11-22 20:09:00


산업화의 역사가 긴 서양에선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인식이 보편화돼 있다. ‘노동은 그 자체가 즐거움’(영국), ‘천한 직업은 없다. 천한 사람이 있을 뿐’(프랑스) 등의 속담처럼 노동의 중요성을 직업보다 강조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부귀와 명예, 권력을 누릴 수 있는 직업에 대한 선호가 아무래도 높다.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전통이 뿌리 깊은 유교권 사회에 비해 그 정도가 덜할 뿐이다.

▷한국에선 의사, 판검사, 변호사, 박사 등 이른바 ‘사’자가 붙는 직종이 여전히 선망의 대상이다. 상대적으로 넉넉한 수입에다 사회적 인정까지 받을 수 있어 1등 배우자감으로 꼽힌다. 그러나 요즘엔 연예인, 프로 운동선수, 프로 게이머 등도 인기가 좋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1일 공개한 ‘미래의 직업세계 2007’ 자료를 보면 직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사진작가, 작가, 항공기 조종사, 작곡가, 바텐더 순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사’자 직업인 판검사의 직업 만족도는 15위로 하위권이었다.

▷의사도 직업 만족도가 낮은 직업 2위를 기록했다. 월간 ‘굿모닝 닥터’가 지난해 서울지역 의사 7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7%가 ‘의사라는 직업이 불만족스럽다’고 했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 남 보기에 잘나가는 사람들의 직업 만족도가 오히려 낮다고 한다면 ‘배부른 소리’로 들리기 쉽다. 그러나 남모를 속사정도 있을 터이다. 모델이 직업 만족도가 가장 낮은 직업으로 나타난 것도 흥미롭다.

▷당나라 시인 왕범지(王梵志)는 “배고프면 밥 한 술 먹으면 되고 고단하면 다리 뻗고 자면 그뿐(飢來一鉢飯 困來展脚眠·기래일발반 곤래전각면)”이라고 했지만 요즘 그렇게 마음을 비우고 사는 게 과연 쉬운 일인가. 천직(天職)의 개념이 사라져 가고, 한 직장에서 정년을 맞는 것도 드문 세상이라지만 ‘남의 떡’을 부러워할 게 아니라 자신의 직업에 긍지를 갖고 사는 게 차라리 마음이 편하지 않겠는가.

한기흥 논설위원 eligi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