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7330맞춤운동 합시다]선진국 생활체육 현황

입력 | 2007-05-29 03:03:00

일본은 유소년부터 노인까지 전 국민이 스포츠를 놀이 문화로 인식하는 참여자 중심의 스포츠 정책을 펼쳐 왔다. 지바 현 나라시노 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한국은 스포츠 강국이다. 적어도 국제대회 성적만 놓고 보면 그렇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에서 종합 10위를 차지한 이후 2000년 시드니올림픽(12위)을 빼곤 한 번도 톱10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스포츠 전반을 살펴보면 아직은 걸음마 단계다.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국제대회 순위 경쟁보다 중요한 것이 생활체육의 활성화라는 것을 깨달았다. 생활체육이 탄탄하면 결국 엘리트 스포츠도 한 계단 도약할 수 있다. 스포츠 선진국들은 어떻게 생활체육을 발전시켜 왔을까.

독일의 스포츠를 얘기하기 위해서는 ‘골든 플랜’을 빼놓을 수 없다. 1961년부터 1975년까지 실행된 골든 플랜 기간에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파괴된 스포츠 시설들을 복구하고 육상, 수영, 체조 등 기본 종목 체육관과 수영장, 운동장을 확충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체육 시설 설치를 법으로 정해 국민 1인당 체육 시설은 2.83m²(한국 0.33m²)에 이른다.

시설이 갖춰지면서 자연스럽게 스포츠클럽이 늘어났고 전체 국민의 30%가 넘는 2700여만 명이 8만9000여 개의 각종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약 대신 운동 처방을 내리는 의사도 많다. 처방전을 들고 체육관에 가면 강습비를 보험으로 해결하는 식이다.

‘예술의 나라’ 프랑스는 생활스포츠의 나라이기도 하다. 모든 사람이 스포츠를 평생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게 프랑스의 목표다. 특히 어린이들은 매주 수요일이면 수업 대신 집에서 쉬거나 시에서 운영하는 스포츠센터로 간다. 유도와 복싱 같은 무술부터 축구, 배구 같은 구기까지 다양한 종목을 즐길 수 있다. 빈민층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도 정부가 나서 적극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대통령 직속으로 ‘체력 스포츠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생활스포츠 전반을 관리하고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매일 1시간은 스포츠 활동을 해야 한다. 체육이 기피 과목인 한국과는 달리 ‘운동을 하지 못하면 좋은 대학도 가기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다.

일본은 1964년 도쿄올림픽 이후 기존의 엘리트 체육에서 지역 스포츠클럽으로 정책을 바꿨다. 정부 주도로 ‘생애 스포츠 캠페인’을 했고 모든 지역과 직장에서 스포츠와 친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앞장섰다. 특히 ‘노인 왕국’답게 노인들을 위한 스포츠가 활성화돼 있다. 게이트볼은 기본이고 큰 탁구공을 사용하는 ‘라지볼 탁구’ ‘소프트 발리볼’ 등 다른 나라에서 보기 힘든 노인용 종목들도 널리 보급돼 있다.

이승건 기자 why@donga.com

▼엘리트 체육 편식 이제 그만▼

서구 선진 국가들은 일찍부터 사회간접자본으로서 생활체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다. 사회복지가 발달한 유럽의 국가들은 물론이고 북미와 일본 등 선진국의 생활체육 참여는 세대 간 교류를 통한 사회 통합과 청소년 교육의 핵심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들 생활체육 선진국의 체육 예산은 우리나라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노르웨이의 경우 정부 예산 대비 체육 예산이 1.6%에 이르는 것을 비롯해 독일 일본 영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은 정부 예산 가운데 적어도 0.2%를 체육 예산으로 편성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체육 예산은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8년 0.22% 이후 계속 감소해 2006년에는 0.09%까지 하락했다. 게다가 전문 체육 육성과 국제 경기 지원을 제외한 20% 정도만이 생활체육 예산으로 편성된다는 점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체육 예산이 최소한 정부 예산의 0.2% 이상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생활체육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힘들다.

국가 스포츠의 발전은 전문체육, 생활체육, 국제대회 개최, 스포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균형 있는 조화를 통해 가능하다. 그러나 체육 재원이 한정돼 있다면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고, 이제는 생활체육이 그 대상이 돼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각종 국제대회에서 충분한 성과를 거뒀고, 많은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이제 상대적으로 뒤처진 생활체육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해 수요자 중심의 시스템으로 바꿔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과감하게 엘리트 체육의 틀을 깰 필요가 있다. 금메달 수에 치중한 나머지 국민의 삶과 직접 연관된 생활체육에 대한 지원은 그동안 너무 부족했다. 국민의 건강과 체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점에서 생활체육 진흥이야말로 미래 사회를 위한 바람직한 복지이자 지속 가능한 사회 안전망이란 점을 정책 입안자들이 깨달아야 한다.

양재근 서울산업대 사회체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