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공연]‘한옥의 재발견’ 국악공연에 젖는 북촌 한옥마을

입력 | 2007-08-22 03:02:00

서울 종로구 가회동 북촌마을의 오래된 한옥 ‘무무헌’에서 열린 ‘한옥에서 산조 듣기’ 공연. 기와지붕에서 마당으로 떨어지는 낙숫물 소리조차 아쟁 산조와 어우러지는 음악이 되었다. 사진 제공 악당이반

북촌마을 한옥 ‘락고재’에서 태평소를 연주하는 국악인 김희영 씨.


서울 종로구 가회동 북촌마을의 오래된 한옥 ‘무무헌(無無軒)’. 없다는 마음까지도 사라지는 경지에 이를 정도로 고즈넉한 한옥이다.

비가 쏟아지던 한여름의 어느 날. ‘무무헌’에선 김영길의 아쟁산조 공연이 열렸다. 대청마루에서 활을 긋는 연주자 양 옆으로 안방과 건넌방까지 관객들이 삼삼오오 둘러앉았고, 툇마루에서 앉아 편안히 감상하는 관객도 있었다.

아쟁산조가 구성지게 연주되는 동안 기와지붕에서 마당으로 떨어지는 낙숫물 소리는 오히려 촉촉한 배경음악이 됐다. 가끔씩 들려오는 천둥소리는 소리구멍을 채우는 자연의 추임새였다. 빗소리가 거세질수록 사람들은 더욱더 음악에 빠져 들었다.

국악의 참맛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북촌 한옥을 찾고 있다. 국악전문 음반사 ‘악당(樂黨)이반’의 소리재, 한상수자수박물관, 출판사 ‘김영사’의 후원(後園), 은덕문화원, 아름지기 안국동 한옥, 쇳대박물관, 낙고재(樂古齋) 등의 한옥에서 한 달에 한두 번씩 국악 공연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재단법인 ‘아름지기’가 펼치는 ‘가락(家樂)-한옥에서 산조듣기’와 음악동인 ‘고물’이 펼치는 ‘풍류-서울사투리’ 공연이 그것이다.


영상제공: 악당 이반

○ 국악은 원래 한옥에서 연주하던 음악

“‘풍류(風流)’라는 것은 말 그대로 바람 불고, 물 흐르는 곳에서 즐기던 음악이에요. 자연 속 한옥 같은 열린 공간에서 즐기던 음악이지요.”(국악인 김희영)

국악은 원래 한옥의 사랑방에서 연주되던 음악이다. 그래서 음량이 크지 않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이나 우면당 등 서양식 음악홀처럼 지어진 극장에서는 제 맛을 즐기기 어렵다. 또 서양악기와 퓨전을 할 경우 국악기에 마이크를 달아 증폭하는 과정에서 소리가 왜곡된다. 국악에 별다른 감흥을 못 느끼던 사람도 한옥에서 가야금이나 아쟁산조를 듣노라면 넋을 잃고 빠져든다.

“국악기는 원래 한옥을 채우기 위한 악기입니다. 센 음들은 창호지를 통해 빠져나가고, 부드러운 음은 서까래에서 맴돌지요. 서양음악은 밀폐된 공간에서 절대음이 깨끗하게 연주되는 것을 중요시하지만, 국악은 빗소리 바람소리까지 다 음악으로 받아들입니다.”

‘소리재’의 주인인 김영일 악당이반 대표는 “한옥은 자체가 완성된 국악 공연장”이라며 “무대를 인위적으로 만들기보다 직접 한옥으로 찾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 “한옥 단순히 보존하기보다 우리 음악 흐르게 해야”

1934년 설립돼 역사와 문학을 연구하던 ‘진단학회’ 건물이었던 ‘낙고재’는 전통 차와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한옥이다.

집주인 안영환 씨는 “북촌 한옥을 단순히 보존하고 가꾸기보다는 그 안에 담긴 문화적 가치를 일깨워야 할 때”라며 “가장 좋은 것은 한옥에 늘 우리 음악이 흐르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국악과 출신 연주자들로 구성된 음악동인 ‘고물’은 25일 오후 5시 소리재에서 거문고, 가야금, 대금, 피리 등으로 이뤄진 ‘줄풍류’ 공연을 펼친다. 한옥의 공간적 특성상 관객은 20∼30명으로 제한된다.

‘고물’의 피리 연주자 유현수 씨는 “국악 그대로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소규모 연주회를 자주 열겠다”고 말했다.

북촌 한옥마을에서 볼만한 국악공연-날짜제목전화번호은덕문화원9월 8일거문고 산조(한갑득류)가락-한옥에서산조듣기(02-733-8375)무무헌9월 15일가야금 산조(정남희제황병기류)소리재10월 6일대금 산조(김동진류 시나위)심심헌10월 27일21현 옥류금 산조(정남희류)소리재8월 25일본령산에서 뒤 풍류까지풍류-서울사투리(02-745-6113,011-275-1298)김영사 후원9월 14일풍류방담1-풍류인김호성은덕문화원9월 29일풍류방담2-가인 박덕화김영사 후원10월 19일풍류와 사람은덕문화원11월 3일풍류방담3-가곡 전통 몇가지쇳대박물관11월 24일가진회상쇳대박물관12월 15일가곡 한바탕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 이 기사 취재에는 본보 대학생 인턴기자 이재하(23·서울대 언론정보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